.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새로운 세계질서와 중심국 외교/한승주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1-05-10 19:07 조회1,353회 댓글0건

본문

20세기 후반에 개발도상국에서는 종속이론이 유행했다. 남미를 중심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던 종속이론에 의하면 세계에는 몇 개의 특권층 국가가 존재하며 이들은 저개발 국가로부터 자원 노동 시장을 착취하여 치부를 꾀한다는 것이다. 시장의 우월성과 자유무역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선진국의 주장을 반박하는 종속이론은 마르크스주의의 전통을 이어받아 세계 각국을 중심부와 주변부로 나누고 주변부는 중심부의 착취 대상에 불과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종속이론은 1960년대와 1970년대 개발시대의 자유시장 정책이 저개발 국가를 빈곤으로 몰아가는 것같이 보일 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1980년대 아시아에서 한국 등 신흥공업국(NICs)이 비약적인 경제적 발전과 산업화를 이루고 1980년대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의 사회주의 경제가 몰락하면서 종속이론도 역사의 뒷전으로 물러났다.

냉전 이후 미국 등 선진 자본주의 국가는 사회주의 국가의 붕괴와 중국 등의 시장경제 채택이 자본주의와 자유주의의 승리를 의미한다고 결론짓고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IBRD)을 통한 ‘워싱턴 컨센서스’의 전파에 열을 올렸다. 워싱턴 컨센서스란 자유주의 경제의 우월성을 전제로 경제 성장, 무역과 투자의 자율화, 공기업의 민영화, 규제완화, 금리와 환율의 현실화 등 경제의 자유화와 세계화를 촉진하고 독려하는 정책을 의미했다.

종속이론 퇴조시킨 한국의 발전

워싱턴 컨센서스는 1998년 아시아의 금융위기가 터진 뒤 IMF가 구제 조건으로 재정의 억제, 금리와 환율의 현실화, 자본시장의 개방, 기업의 세계화를 강제함으로써 더욱 큰 영향력을 갖게 됐다. 그러나 워싱턴 컨센서스를 중심으로 하는 경제의 세계화는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의 ‘반세계화 운동’을 야기했고 자유무역협정(FTA)을 포함하는 무역 자유화, 세계무역기구(WTO)와 IMF 등 세계 경제 기구는 저항의 표적이 됐다.

워싱턴 컨센서스에 대항하여 대두된 것이 ‘베이징 컨센서스’이다. 경제 대국으로서의 중국의 급부상을 배경으로 제기됐는데 워싱턴 컨센서스에 ‘굴복’하거나 무조건적으로 추종하지 않으면서도 현저한 경제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한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개혁과 실험에 대한 의지(commitment)’, 국내총생산(GDP) 증가에만 매달리지 않는 지속 가능한 성장 정책, IMF 등 외부의 강요에 흔들리지 않는 자주적 결정을 강조한다. 베이징 컨센서스는 2008∼2009년 세계 금융위기와 함께 워싱턴 컨센서스가 불신을 받고 중국의 세계적 역할이 증대하자 더 각광을 받았다.

미국발 세계 금융위기로 평가절하된 것은 워싱턴 컨센서스뿐만 아니라 미국과 함께 세계경제의 리더십 역할을 자임했던 G7(1998년 이후는 G8) 정상회담이다. G8은 세계 금융위기에 대한 해법과 비전을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존재 이유에 대한 회의를 낳았다. G8의 허점을 보완하고 중국을 포함한 세계의 경제 실세를 포함하는 정상회담을 구성해야겠다는 인식에서 탄생한 기구가 G20이다.

G20은 여러 면에서 G8과 다르다. 무엇보다 구미 중심의 정상회담에서 벗어나 전 세계 지역의 주요 국가를 포함시켜 대표성과 정통성을 강화했다. G8이 아시아에서 일본 한 나라만을 포함했던 것에 반해 G20은 일본 외에 중국 인도네시아 한국 호주 등 5개 아시아 지역 국가를 포함하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의 회원국도 10개국이나 된다. 지난 피츠버그 정상회담에서는 세계 최고의 경제협의기구임을 공식 선언했다.

내년에 한국이 G20의 개최국이 되고 동시에 의장국이 되었다는 사실은 한국이 세계경제에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G20과 관련된 우리의 역할은 기회인 동시에 도전이다. 세계경제의 ‘으뜸 포럼’으로서의 G20에서 어젠다와 참여범위에 있어 리더십과 주도권을 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중국과 일본이 경쟁하고 견제하는 사이에서 한국이 동서양, 선진국-개발도상국, 강대국과 중진국 사이의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다.

‘역사적 기회’ G20서 리더십을

그것이 도전인 이유는 G20 주최국이 되고 의장국이 됐다는 자만감에 도취된 나머지 중견국에 불과한 우리의 위치를 과대평가할 수 있어서다. G20은 전대미문의 세계 금융위기 와중에 탄생했고 세계 경제문제를 다루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앞으로 세계의 일차적 통치 장치로서 경제문제뿐 아니라 정치, 안보(특히 환경 자원 인권 등의 인간안보) 문제까지 담당하게 되리라고 기대된다. 우리나라가 모처럼 주어진 역사적 기회에 ‘글로벌 코리아’에 걸맞게 우리의 국익뿐 아니라 지구촌의 번영, 안전, 정의와 관련된 범세계적 문제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리더십을 행사하기를 바란다.

한승주 고려대 명예교수·전 외무부 장관

동아일보/2009년 12월 25일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12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117 고향길에 불러보는 우리의 소원/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16
2011-05-10
1216
116 세종시, 6자회담, G20 - 기회와 선택/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144
2011-05-10
1144
115 15년간 하루 2번씩 중국인 위해 기도/김하중
일자: 05-10 | 조회: 1305
2011-05-10
1305
114 국치 100년을 곱씹어야할 이유/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150
2011-05-10
1150
113 아이티, 6·25때 한국에 물자지원… 이제 우리가 갚아…
일자: 05-10 | 조회: 1292
2011-05-10
1292
112 통상 가정교사 미국, 이젠 한국이 바로잡아/정의용
일자: 05-10 | 조회: 1424
2011-05-10
1424
111 국제 리더십 공백 속에 맞는 한국 G20/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04
2011-05-10
1204
110 통치는 곧 우선순위의 선택이다/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188
2011-05-10
1188
109 원칙있는 대북포용-파병을/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106
2011-05-10
1106
108 건강한 국민, 병든 정치/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099
2011-05-10
1099
열람중 새로운 세계질서와 중심국 외교/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354
2011-05-10
1354
106 G20 정상 만찬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임성준
일자: 05-10 | 조회: 1137
2011-05-10
1137
105 도시의 미관과 시민의 교통편의/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132
2011-05-10
1132
104 아프리카는 녹색성장의 파트너/정해웅
일자: 05-10 | 조회: 1368
2011-05-10
1368
103 오바마 대통령 방한의 과제/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238
2011-05-10
1238
102 오바마 대통령 방한과 한·미 관계 새 지평/이훙구
일자: 05-10 | 조회: 1307
2011-05-10
1307
101 실용적 대중주의 택한 중국, 체제 안정 지속될 것/윤영…
일자: 05-10 | 조회: 1208
2011-05-10
1208
100 좋은 학교는 없애려는 나라/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38
2011-05-10
1238
99 국가 운영체제 개혁 늦추지 말아야/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130
2011-05-10
1130
98 “30년 학내분쟁 끝… 교수유치-학생양성에 올인”/박우…
일자: 05-10 | 조회: 1428
2011-05-10
1428
97 카메라에 담은 명사 100인의 ‘마음’/윤주영
일자: 05-10 | 조회: 1355
2011-05-10
1355
96 6자회담은 진짜 토끼인가?/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216
2011-05-10
1216
95 하토야마 총리 방한(訪韓) 준비물/정찬원
일자: 05-10 | 조회: 1165
2011-05-10
1165
94 "각 분야 선각자 100명의 모습 담았어요"/윤주영
일자: 05-10 | 조회: 1334
2011-05-10
1334
93 ‘핵무기 없는 세계’와 한반도 비핵화/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183
2011-05-10
1183
92 그랜드 바겐과 북핵협상의 미로/이수혁
일자: 05-10 | 조회: 1231
2011-05-10
1231
91 누가 도덕불감증 중증 환자인가/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159
2011-05-10
1159
90 이산가족 상봉, 몸값 대주기 안 된다/소병용
일자: 05-10 | 조회: 1223
2011-05-10
1223
89 동방예의지국의 부끄러운 ‘폭력 국회’/김정원
일자: 05-10 | 조회: 1216
2011-05-10
1216
88 정보화·특성화·세계화로 '분규 대학' 이미지 벗을 것/…
일자: 05-10 | 조회: 1518
2011-05-10
1518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