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쾌속 거함’ 중국의 딜레마와 한반도/윤영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1-05-10 18:49 조회1,350회 댓글0건

본문

거대한 배는 느리고 작은 배는 빠르다는 게 상식일 텐데 그렇지가 않은 것이 중국 같다. 13억 인구의 거함 중국이 쾌속으로 달리고 있어 보는 이들을 어지럽게 만들고 있다. 지금 베이징에서 보는 느낌이 그렇다.

올림픽을 즈음해 신축된 수도박물관이나 CC-TV 타워의 당당한 모습만이 아니라 통계수치로 볼 때도 확연하다. 윌리엄 윌슨이라는 이코노미스트는 각국의 성장 속도를 측정했다. 영국은 국내총생산(GDP)이 두 배로 증가하는데 58년, 미국은 47년, 일본은 34년, 한국은 11년 걸렸다. 그런데 중국은 9년밖에 안 걸렸고, 9년 후 다시 두 배로 증가했다.

이처럼 빠른 속도로 질주하는 중국, 그리고 2조 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액을 지닌 중국이니까 이제 미국과 함께 위풍당당하게 G2의 역할을 할 것 아닌가? 요즈음 많은 사람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이곳의 분위기는 그렇지 않다. 모두들 고개를 설레설레 흔든다. 그러기에는 내부 문제가 너무 산적해 있다는 것이다. 결국 국력 신장에도 불구하고 내부적 취약점이 역설적으로 중국으로 하여금 빛을 감추고 실력을 기르며 때를 기다린다는 도광양회(韜光養晦) 노선을 버리지 않게 하고 있다.

중국은 고속 경제성장을 하면 할수록 어렵고 복잡한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그 한 예가 환경 문제다. 올 연말이면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국제협상이 열린다. 모두 중국을 주목하고 있지만 중국은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기대처럼 그렇게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할 것 같다. 국제적 압력뿐 아니라 환경오염 피해 주민들로부터의 국내적 압력도 거세지고 있다. 하지만 온실가스 감축만 강조하다 보면 경제위기 아래에서 성장률은 더 하락하고, 실업자가 양산돼 사회적 불만이 커질 것이다. 중국은 환경과 경제발전의 두 목표 사이에서 어렵사리 줄타기를 하고 있다.

더 근본적인 문제는 고속 경제성장 탓에 약화되기 쉬운 중국 사회의 통합력을 어떻게 유지하고, 사회 안정을 이루어낼 것이냐는 점이다. 경제성장을 하면서 벌어지고 있는 빈부격차, 특히 도시와 농촌, 해안의 개발지대와 내륙의 미개발 지대 간의 격차를 어떻게 해소하느냐가 큰 과제다. 이것이 되지 않아 사회가 분열되고 경제위기로 실업까지 늘어나 공산당에 대한 지지기반이 약화되는 것을 정치지도자들이 가장 우려하고 있다. 2003년 주룽지 총리는 총리직 퇴임 인사에서 관리들에게 “새로운 상황에서 인민들 사이의 내부적 갈등을 확실하게 다룰 것”을 요구한 바 있다.

중국 사회의 통합과 관련해 또 다른 핵심 문제가 민족통합 문제다. 그들은 1991년 소련의 해체를 잊지 않고 있다. 대만과의 통합에 더해 티베트·신장 지역 등 소수민족들을 어떻게 통합해낼 것인가도 중요한 과제다. 이는 중국의 한반도 정책과도 긴밀히 연결돼 있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중국이 한반도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일이 조선족이 많이 사는 동북지역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가장 초점을 맞출 것이라는 점이다.

90년대 중반 한국의 고위급 인사가 중국을 방문했을 때 중국 측은 아예 내놓고 중국 동북지역에서 한국인들의 민족주의적 행동을 자제해 주도록 요청했다고 한다. 이미 이때부터 중국의 정치지도자들은 한국인들의 중국 내 행보를 예의 주시하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북한 문제나 한반도 미래에 대한 중국의 협조 여부도 그것이 중국의 조선족 통합에 미칠 영향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좌우될 가능성이 크다.

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를 해소, 제3차 세계대전을 피했던 케네디 대통령의 성공적 외교의 핵심은 ‘상대방 입장에서 생각하기’였다. 그는 소련이 쿠바에서 미사일을 철수하는 대신 미국은 터키에 배치된 노후된 미사일을 수개월 후 비밀리에 빼내겠다는 약속으로 그들의 체면을 살려 주며 문제를 해결했다.

이처럼 냉철한 판단으로 상대방 의도를 정확하게 읽어 내고 그것과 우리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성공적 외교의 핵심일 것이다. 친중이냐 반중이냐, 친미냐 반미냐와 같은 내용 없고 분열적인 수사,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식의 대책 없는 감성논리는 오히려 국가와 민족의 장래를 어둡게 할 것이다.

윤영관 서울대 교수·국제정치학

중앙일보/2009년 5월 4일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13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87 미중 관계의 변화와 북핵 게임/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226
2011-05-10
1226
86 민족공동체통일로 향한 ‘기회의 창’ /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48
2011-05-10
1248
85 "북핵(北核)에 둔감해져… 해결 더 힘든 상황"/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336
2011-05-10
1336
84 국가브랜드 높이는 스마트파워/박대원
일자: 05-10 | 조회: 1444
2011-05-10
1444
83 민주주의의 기능과 한계/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12
2011-05-10
1212
82 10월 '우주 축제'가 새 꿈을 펼친다/최흥식
일자: 05-10 | 조회: 1235
2011-05-10
1235
81 스포츠 외교와 월드컵/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560
2011-05-10
1560
80 대북정책 어떻게… 전문가 5인의 의견/김석우,임동원
일자: 05-10 | 조회: 1173
2011-05-10
1173
79 진정한 보수주의는 중도 아닌 중심에 서야/박근
일자: 05-10 | 조회: 1371
2011-05-10
1371
78 미국을 바로 알지 못하는 북한/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67
2011-05-10
1267
77 “올 상반기에만 지구 7바퀴 돌아…시차 느낄 여유도 없…
일자: 05-10 | 조회: 1244
2011-05-10
1244
76 편향된 역사인식의 깊은 뿌리/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45
2011-05-10
1245
75 방사능 낙진 없는 핵실험 북, 권력승계용 ‘空砲’?/강…
일자: 05-10 | 조회: 1237
2011-05-10
1237
74 통일의 그날이 오면/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347
2011-05-10
1347
73 개헌의 명분과 방법론/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216
2011-05-10
1216
72 지원(支援) 취소, 재단 탓 말라/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28
2011-05-10
1228
71 국회의 헌법 논의로 민주정치 숨통 트자/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190
2011-05-10
1190
70 무엇이 우리를 하나 되게 할 것인가/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11
2011-05-10
1211
69 한식 없는 호텔도 호텔입니까/임성준
일자: 05-10 | 조회: 1280
2011-05-10
1280
68 북핵 문제와 5자 협의의 허실/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154
2011-05-10
1154
67 중국의 ‘강박관념’ 해소하는 노력 필요하다/김석우
일자: 05-10 | 조회: 1263
2011-05-10
1263
66 통일을 향한 결단의 시기/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106
2011-05-10
1106
65 교육의 큰 틀을 생각하자/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36
2011-05-10
1236
64 변함없는 중국의 ‘김정일체제 유지’ 전략/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196
2011-05-10
1196
63 7년전 얘기하던 ‘평화’가 이런 것입니까/신희석
일자: 05-10 | 조회: 1444
2011-05-10
1444
62 핵 이용과 핵 주권/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218
2011-05-10
1218
61 인도, 한국 글로벌 외교의 전초기지/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306
2011-05-10
1306
60 법이 궤변의 방패이고 불의의 피신처인가?/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455
2011-05-10
1455
열람중 ‘쾌속 거함’ 중국의 딜레마와 한반도/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351
2011-05-10
1351
58 정치부패의 깊은 뿌리/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60
2011-05-10
1260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