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통일의 그날이 오면/이홍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1-05-10 18:55 조회1,346회 댓글0건

본문

8월이 오면 해방과 광복의 그날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세상이 어수선하여 말할 수 없이 힘들고 답답했던 7월이었지만 암울했던 식민지 시대의 족쇄로부터 풀려났던 1945년의 8월을 어찌 잊을 수 있단 말인가. 그날을 위하여 우리의 선현들이 감내하였던 수모와 박해는 얼마나 엄청났으며 그와 같은 희생으로 이루어진 해방의 감격은 또 얼마나 가슴 벅찬 것이었나.

해방과 독립을 기다리던 우리 민족의 간절한 소망은 심훈의 시, ‘그날이 오면’에서 읽을 수 있다.

“그날이 오면 그날이 오면은/ 삼각산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날이/ 이 목숨이 끊어지기 전에 와주기만 하량이면/ 기뻐서 죽사오며 오히려 무슨 한이 남으오리까…”

그토록 기다렸던 해방은 독립을 가져왔지만 분단이란 혹독한 대가(代價)를 수반하였다. 일제에 나라를 강점당하였던 식민지 시기는 35년이었으나 해방의 대가로 치른 남북 분단은 64년째로 접어들고 있다. 해방의 그날을 기다렸던 민족적 염원에 비하면 오늘날 통일을 향한 국민적 열망은 차츰 식어가고 있지는 않은지 되돌아보게 된다. 일제 하에서 해방을 애절하게 기다렸듯이 오늘날 우리에게 통일의 그날을 기다리는 갈망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걱정스럽기만 하다. ‘우리의 소원은 통일’의 노랫소리를 자주 듣기 어려워진 현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바쁜 일상의 압력과 널리 확산된 실용의 윤리가 통일이란 목표로부터 모든 긴박성을 앗아갔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처럼 통일, 즉 분단 극복에 대한 국민적 열의가 식어가고 있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국민이 갖고 있는 북한에 대한 두려움이다.

첫째로, 반세기 이상 계속되어 온 남북대결 구도 속에서 북한으로부터 끊임없이 밀려오는 군사적 위협을 실감하고 있는 국민들에게 설득력 없이 외치는 통일 주장은 즉각적인 공감을 얻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더구나 근래에 급속히 가중되고 있는 북한의 압력, 즉 핵실험, 미사일 발사, 난폭한 용어를 동원한 선전 공세 등이 또 한번의 전쟁 가능성을 높여가고 있다는 심각한 우려는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다. 이렇듯 대결의 심화 속에서는 평화통일을 논하는 것 자체가 공허한 담론으로 들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둘째로, 오늘의 한반도에선 분단 60년으로 말미암은 남북 간의 이질화가 심각한 수위에서 고착되고 있다. 냉전의 막이 내리고 동서화해가 진행된 지난 20년간 한반도에선 오히려 남북대결과 이질화가 가중되는 현상이 벌어졌다. 남쪽은 산업화에 더하여 민주화를 성취시킴으로써 세계화의 물결에 적극 합류한 데 반하여 북쪽은 전 국토와 국민의 고립화, 요새화를 강력히 고집함으로써 세계적인 예외 체제가 되고 말았다. 그러는 동안 오늘의 한국인에게는 북한의 체제와 주민이 러시아·중국·베트남보다도 더 이해하기 힘든 이방인이 되어버린 것이다. 가장 가까워야 할 동포들임에도 가장 멀어지는 기현상과 이질감으로 북한에 대한, 그리고 통일 자체에 대한 두려움이 우리 국민의 마음속에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이러한 두려움이 결국 통일에 대한 무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셋째로, 남북관계가 대화보다는 대결로, 긴장 완화보다는 고조로 치달으며 북한의 고립 또한 날로 심화되는 상황이다 보니 통일을 위하여 어떠한 희생과 대가를 치를 것인가에 대한 국민적 각오와 합의를 모으기 어려운 분위기가 자리 잡아가고 있다. 20년 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질 때에 독일 국민이 공유하였던 정서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음을 자인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무작정 어려움은 피하고 싶어 하는 인간적 본능에 나라의 운명을 맡길 만큼 우매한 민족은 아니다. 8월을 맞아 광복의 그날을 생각하며 새삼 통일의 그날도 생각해 보고 싶은 것이다. 우리 스스로가 통일에 필요한 희생과 각오 없이 어떻게 주변국들에 한반도 통일이 가져올 불확실성과 경비를 감내하도록 설득하고 부탁할 수 있을 것인가.

통일의 그날은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역사의 흐름에는 영원한 예외가 없다. 60년이 넘게 역사의 예외지대로 추락했던 한반도가 분단이란 수렁으로부터 탈피하려는 것은 민족의 정체성과 국민 각자의 자존심이 걸린 역사적 과제다. 통일의 그날이 오기를 기다리는 자성의 시간이 되는 8월이 되었으면 한다.

이홍구 전 총리·본사 고문

중앙일보/2009년 8월 3일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13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87 미중 관계의 변화와 북핵 게임/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226
2011-05-10
1226
86 민족공동체통일로 향한 ‘기회의 창’ /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48
2011-05-10
1248
85 "북핵(北核)에 둔감해져… 해결 더 힘든 상황"/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336
2011-05-10
1336
84 국가브랜드 높이는 스마트파워/박대원
일자: 05-10 | 조회: 1444
2011-05-10
1444
83 민주주의의 기능과 한계/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12
2011-05-10
1212
82 10월 '우주 축제'가 새 꿈을 펼친다/최흥식
일자: 05-10 | 조회: 1235
2011-05-10
1235
81 스포츠 외교와 월드컵/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559
2011-05-10
1559
80 대북정책 어떻게… 전문가 5인의 의견/김석우,임동원
일자: 05-10 | 조회: 1173
2011-05-10
1173
79 진정한 보수주의는 중도 아닌 중심에 서야/박근
일자: 05-10 | 조회: 1371
2011-05-10
1371
78 미국을 바로 알지 못하는 북한/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67
2011-05-10
1267
77 “올 상반기에만 지구 7바퀴 돌아…시차 느낄 여유도 없…
일자: 05-10 | 조회: 1244
2011-05-10
1244
76 편향된 역사인식의 깊은 뿌리/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45
2011-05-10
1245
75 방사능 낙진 없는 핵실험 북, 권력승계용 ‘空砲’?/강…
일자: 05-10 | 조회: 1237
2011-05-10
1237
열람중 통일의 그날이 오면/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347
2011-05-10
1347
73 개헌의 명분과 방법론/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216
2011-05-10
1216
72 지원(支援) 취소, 재단 탓 말라/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28
2011-05-10
1228
71 국회의 헌법 논의로 민주정치 숨통 트자/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190
2011-05-10
1190
70 무엇이 우리를 하나 되게 할 것인가/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11
2011-05-10
1211
69 한식 없는 호텔도 호텔입니까/임성준
일자: 05-10 | 조회: 1279
2011-05-10
1279
68 북핵 문제와 5자 협의의 허실/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154
2011-05-10
1154
67 중국의 ‘강박관념’ 해소하는 노력 필요하다/김석우
일자: 05-10 | 조회: 1262
2011-05-10
1262
66 통일을 향한 결단의 시기/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106
2011-05-10
1106
65 교육의 큰 틀을 생각하자/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35
2011-05-10
1235
64 변함없는 중국의 ‘김정일체제 유지’ 전략/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196
2011-05-10
1196
63 7년전 얘기하던 ‘평화’가 이런 것입니까/신희석
일자: 05-10 | 조회: 1444
2011-05-10
1444
62 핵 이용과 핵 주권/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218
2011-05-10
1218
61 인도, 한국 글로벌 외교의 전초기지/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306
2011-05-10
1306
60 법이 궤변의 방패이고 불의의 피신처인가?/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455
2011-05-10
1455
59 ‘쾌속 거함’ 중국의 딜레마와 한반도/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350
2011-05-10
1350
58 정치부패의 깊은 뿌리/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260
2011-05-10
1260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