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헌법 존중하는 법치로 민주화 2기를/이홍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1-05-10 18:44 조회1,181회 댓글0건

본문

한국의 민주주의는 지금 사활이 걸린 심각한 위기에 봉착해 있다. 연말연초에 걸쳐 국민의 눈앞에서 벌어진 의회정치의 파탄은 모든 국민에게 분노를 넘어 심한 배신감에 휩싸이게 하였다. 설사 오늘의 경제위기를 어렵사리 넘긴다 하더라도 지금의 정치 형태로는 치열한 국제경쟁 속에서 선진 민주국가로의 도약을 기대하기 어려운 전망이다. 선진국들이 경제위기가 정치위기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치권이 경제위기 극복의 주도권을 행사하고 있는 것에 비해 우리는 오히려 경제위기를 사회위기로, 나아가 정치위기로 연계시키는 답답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렇듯 병들어 가는 우리의 민주정치를 어떻게 치유해야 할 것인가.

교과서로, 즉 정론(正論)으로 돌아가야 한다. 우리의 상황이나 여건을 예외적이라고 주장하는 역설의 악습에서 벗어나야만 된다. 우리가 20년 전 87년 체제의 출범으로 민주화 1기를 시작하였다면 바로 지금이 뒤늦게나마 민주화 2기로 넘어갈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민주화 1기가 부정선거, 장기 집권, 헌법 유린 등 독재나 권위주의 체제의 극복으로 시작했다면 민주화 2기는 인치(人治)보다 법치(法治)를 앞세우는 헌법 중심의 민주정치를 정착시키는 계기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이번 여야 격돌의 초점이 된 법안들에 대한 각 당의 입장은 각기 나름대로의 명분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의회정치 파탄의 이유는 그러한 입장과 명분의 차이보다도 그 차이의 조정 또는 선택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민주적 절차의 부재에 있다. 민주화 이후 20년 동안 절차의 부재나 미비가 방치됐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한국의 진보 및 보수 정당이 지닌 후진성의 체질화였다.

한국의 진보세력은 권위주의 체제를 극복한 민주화운동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컸다는 도덕적 우위를 앞세워 투쟁의 열기에만 집착한 나머지 민주화 이후에 민주정치를 위한 국민정당을 형성하는 데 있어 그 한계를 노출하는 아이러니에 부딪히고 말았다. 더욱이 진보세력은 10년을 집권하면서도 서구의 사회민주주의 정당처럼 중산층을 포함한 다수의 국민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국민정당으로 발전되지 못한 채 소수파의 불안심리에 얽매어 야성(野性)과 투쟁으로 일관하는 행태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집권정당으로서도 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의 형평과 복지를 어떻게 민주적으로 증대시켜 갈 것인지를 국민에게 제시하지 못하다가 다시 야당의 위치로 돌아와서는 우선 손쉬운 야성 회복에 매사를 의존하려는 유혹에 빠져들고 있다.

한편 보수세력을 대표하는 지금의 여당도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정당이나 국민정당이 되기엔 너무나 갈 길이 멀고 무력한 모습으로 국민을 실망시키고 있다. 보수여당은 권위주의시대의 유산과도 일부 연계돼 있다는 명분상의 한계와 산업화의 주역을 맡았었다는 이점을 함께 지니고 있다.

그러나 보수여당 역시 산업화에 공헌한 기업과 시장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하면서도 새마을운동 등으로 상징되던 함께 잘살아보자는 시민사회로의 보편화 전략은 실종시킨 채 국민정당화에 성공하지 못했다. 더욱이 ‘친이’ ‘친박’ 등 전근대적 파당정치의 양태는 많은 국민을 역겹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정당정치의 파탄 속에서 세기적 경제위기를 맞은 지금 더 이상 지난 20년을 끌어온 민주화 1기의 지지부진한 정치 과정을 답습해야 할 이유는 없다. 민주화 2기로 넘어가는 정치개혁으로 규칙도 심판도 없는 축구시합 같은 정치 혼전에 종지부를 찍고 헌법을 존중하는 법치로 인치를 대치해야만 한다. 여야 충돌이 휴전상태로 접어든 이제부터 다수결의 원칙과 여야합의의 원칙 중 어느 것이 우선하느냐에 대한 헌법적 논의가 시작되고 민주정치의 원활한 운영규칙을 보완할 수 있도록 헌법특위를 하루속히 출범시켜야 한다. 궁극적으로는 소수의 비토 파워, 즉 거부권의 인정은 좌나 우의 소수세력에 의한 민주정치의 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는 역사의 교훈을 정치권과 국민이 함께 되새겨야만 할 것이다. 2012년 총선과 대선은 먼 미래의 일이 아니다. 조속히 민주정치의 틀과 규칙을 정비할 때 경제위기와 정치위기를 동시에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홍구 전 총리·본사 고문

중앙일보/2009년 1월 19일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14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57 국가이미지와 국가브랜드 가치/조원일
일자: 05-10 | 조회: 1212
2011-05-10
1212
56 위기를 넘어 멀리 보는 ‘정치경제학’ 기대한다/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39
2011-05-10
1239
55 기축통화 달러 위상 흔들린다지만/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59
2011-05-10
1259
54 北로켓발사 제재-대화 병행을/이순천
일자: 05-10 | 조회: 1239
2011-05-10
1239
53 북한의 게임 플랜/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244
2011-05-10
1244
52 [초대석]창립 18돌 맞는 한국국제협력단 박대원 총재
일자: 05-10 | 조회: 1380
2011-05-10
1380
51 정치권의 심기일전을 촉구한다/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18
2011-05-10
1218
50 밖에서 알아줘야 국가브랜드다/서대원
일자: 05-10 | 조회: 1243
2011-05-10
1243
49 남북한 윈윈게임은 가능한가/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306
2011-05-10
1306
48 정치 복원 위해 헌법문화 키우자/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098
2011-05-10
1098
47 평준화의 환상을 버리자/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339
2011-05-10
1339
46 동북아 넘어 동아시아 외교 주도를/이선진
일자: 05-10 | 조회: 1241
2011-05-10
1241
45 힐러리 장관 방한에 거는 기대와 우려/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170
2011-05-10
1170
44 ‘시빌리티’는 사치인가/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420
2011-05-10
1420
43 누가, 무엇이 우리를 구해줄 것인가/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348
2011-05-10
1348
열람중 헌법 존중하는 법치로 민주화 2기를/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182
2011-05-10
1182
41 미국이냐, 중국이냐 이분법 벗어나야/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95
2011-05-10
1295
40 오바마 외교와 ‘골디락스 법칙’ /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738
2011-05-10
1738
39 금융위기는 곧 정치위기다./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21
2011-05-10
1221
38 '일(日) 극우파' 대신 '일(日) 침략적 민족주의자'…
일자: 05-10 | 조회: 1357
2011-05-10
1357
37 우리는 과연 주인 의식을 갖고 있는가/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51
2011-05-10
1251
36 북(北) 급변과 한·미 관계/김석우
일자: 05-10 | 조회: 1209
2011-05-10
1209
35 올림픽과 중국의 갈 길/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29
2011-05-10
1229
34 탈북자 인권에 韓中작지만 의미있는 진전/김석우
일자: 05-10 | 조회: 1157
2011-05-10
1157
33 혐한증, 중국만 비난할 수 없다/유종하
일자: 05-10 | 조회: 1470
2011-05-10
1470
32 민주주의와 성공적 외교/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85
2011-05-10
1285
31 ‘외교 60년’ 폄하해선 안 된다/박수길
일자: 05-10 | 조회: 1289
2011-05-10
1289
30 일본의 억지 주장과 우리의 대처/정정검
일자: 05-10 | 조회: 1418
2011-05-10
1418
29 '독도'에 대한 한민족의 바람직한 시대적 자세/정정검
일자: 05-10 | 조회: 1368
2011-05-10
1368
28 한미(韓美)정상이 나눠야 할 이야기/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287
2011-05-10
1287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