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北로켓발사 제재-대화 병행을/이순천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1-05-10 18:48 조회1,238회 댓글0건

본문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와 만류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결국 장거리 로켓을 발사했다. 북한은 평화적인 우주개발이라는 명분을 앞세워 4월 초에 로켓을 발사하겠다고 예고해 왔다. 북한의 발사체가 미사일이든 인공위성이든 관계없이 발사 자체가 2006년 북한 핵실험 이후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718호에 위반된다. 안보리는 오늘 새벽 긴급 소집됐다. 안보리가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는 5개 상임이사국의 합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결과를 예측할 수 없으나 우리는 북한의 안보리 결의 무시행동이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도록 내버려둬서는 안 된다.

비핵화 위한 6자회담 유지를


북한은 미국의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출범한 후 미국의 관심을 끌고 대미협상력을 높이고자 다시 벼랑끝 전술을 구사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북한에 대해 이런 벼랑끝 전술이 더는 통하지 않음을 분명히 인식시켜야 한다. 북한의 도발행위가 장기적으로는 북한에 손해가 된다는 사실을 알려줘야 하며 북한으로 하여금 대가를 치르게 해야 한다. 로켓 발사에 대한 미국과 국제사회의 대응 여부에 따라 북한은 다음번에 제2의 핵실험을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안보리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모든 외교적 노력을 다해야 한다.


북한은 로켓 발사로 미국에 대한 협상카드를 추가하여 6자회담을 형해화하고 미북 간의 직접대화로 핵문제를 일괄타결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6자회담은 비핵화를 위한 유용한 틀로서 계속 유지해야 한다. 로켓 발사 이후 일정 기간 냉각기를 거쳐 6자회담을 재개해야 하며 이를 위해 6자회담 당사국과의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 우리 정부는 마침 런던에서 개최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국 일본 중국과의 개별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문제에 대한 굳건한 국제공조체제를 재확인했다. 한미일 공조와 함께 앞으로는 한-중-러 3자 협의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또한 적절한 시점에 남북대화를 재개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미 필요 시 대북특사 파견 등 남북대화의 문을 열어두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우리 정부가 그간 일관되게 제의한 진정성 있는 남북대화 재개와 상생 및 공영 정책은 로켓 발사에 대한 조치와는 별개로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미북 간의 직접대화도 6자회담의 틀에서 이뤄질 수 있다. 굳건한 한미공조의 바탕 위에서 미북 대화가 이루어져 비핵화를 진전시킬 수 있다면 우리로서도 이를 반대할 이유가 없다.


PSI 전면참여로 안보 지켜야


우리 정부는 또한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인 PSI에 전면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PSI는 6자회담 당사국인 미-일-러를 포함해 94개국이 참여하는 국제협력체로서 확산을 차단한 여러 성공사례가 있고 참여국이 계속 늘었다. 특히 안보리 결의 제1718호에 따라 모든 유엔 회원국이 확산 차단에 참여해야 할 법적 의무가 있음에 비추어 북한의 안보위협의 직접 당사국인 우리나라가 여기에 전면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것은 국제사회에서의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셈이다.


PSI는 공해가 아닌 우리의 관할권이 미치는 영해-내수-영공에서만 국제법 및 국내법에 따라 행동하며 북한 선박이 우리 영해에서 안보 관련 의혹물자를 운송하지 않는 한 남북 간에 긴장을 고조시키는 조치가 아니다. 우리는 확산방지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 안보이익을 지켜 나가야 한다. 대량살상무기의 비확산은 국제사회의 책무이기에 성숙한 세계국가를 지향하는 우리나라가 더는 참여를 미룰 명분이 없다.


이순천 외교안보연구원장

동아일보/2009년 4월 6일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14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57 국가이미지와 국가브랜드 가치/조원일
일자: 05-10 | 조회: 1211
2011-05-10
1211
56 위기를 넘어 멀리 보는 ‘정치경제학’ 기대한다/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39
2011-05-10
1239
55 기축통화 달러 위상 흔들린다지만/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58
2011-05-10
1258
열람중 北로켓발사 제재-대화 병행을/이순천
일자: 05-10 | 조회: 1239
2011-05-10
1239
53 북한의 게임 플랜/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243
2011-05-10
1243
52 [초대석]창립 18돌 맞는 한국국제협력단 박대원 총재
일자: 05-10 | 조회: 1379
2011-05-10
1379
51 정치권의 심기일전을 촉구한다/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18
2011-05-10
1218
50 밖에서 알아줘야 국가브랜드다/서대원
일자: 05-10 | 조회: 1243
2011-05-10
1243
49 남북한 윈윈게임은 가능한가/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305
2011-05-10
1305
48 정치 복원 위해 헌법문화 키우자/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097
2011-05-10
1097
47 평준화의 환상을 버리자/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338
2011-05-10
1338
46 동북아 넘어 동아시아 외교 주도를/이선진
일자: 05-10 | 조회: 1240
2011-05-10
1240
45 힐러리 장관 방한에 거는 기대와 우려/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169
2011-05-10
1169
44 ‘시빌리티’는 사치인가/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419
2011-05-10
1419
43 누가, 무엇이 우리를 구해줄 것인가/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348
2011-05-10
1348
42 헌법 존중하는 법치로 민주화 2기를/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181
2011-05-10
1181
41 미국이냐, 중국이냐 이분법 벗어나야/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95
2011-05-10
1295
40 오바마 외교와 ‘골디락스 법칙’ /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737
2011-05-10
1737
39 금융위기는 곧 정치위기다./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20
2011-05-10
1220
38 '일(日) 극우파' 대신 '일(日) 침략적 민족주의자'…
일자: 05-10 | 조회: 1356
2011-05-10
1356
37 우리는 과연 주인 의식을 갖고 있는가/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50
2011-05-10
1250
36 북(北) 급변과 한·미 관계/김석우
일자: 05-10 | 조회: 1208
2011-05-10
1208
35 올림픽과 중국의 갈 길/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28
2011-05-10
1228
34 탈북자 인권에 韓中작지만 의미있는 진전/김석우
일자: 05-10 | 조회: 1156
2011-05-10
1156
33 혐한증, 중국만 비난할 수 없다/유종하
일자: 05-10 | 조회: 1469
2011-05-10
1469
32 민주주의와 성공적 외교/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84
2011-05-10
1284
31 ‘외교 60년’ 폄하해선 안 된다/박수길
일자: 05-10 | 조회: 1288
2011-05-10
1288
30 일본의 억지 주장과 우리의 대처/정정검
일자: 05-10 | 조회: 1417
2011-05-10
1417
29 '독도'에 대한 한민족의 바람직한 시대적 자세/정정검
일자: 05-10 | 조회: 1367
2011-05-10
1367
28 한미(韓美)정상이 나눠야 할 이야기/한승주
일자: 05-10 | 조회: 1286
2011-05-10
1286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