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독도 문제, 한 차원 높게/공로명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1-05-10 16:06 조회1,353회 댓글0건

본문

일본 정부가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를 자국령으로 명기함으로써 양국 관계에 또다시 긴장이 조성되고 있다. 우리 정부가 일본과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고자 하는 노력에 대해 일본정부가 제대로 화답하지 않아 안타깝기 그지없다.

독도는 우리 근·현대사의 가장 아픈 기억인 일제에 의한 우리 국권 침탈의 상징으로 우리 국민이 가장 민감하게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연유로 독도 문제는 일순간에 한·일 양국 국민의 감정적 대립을 폭발시키고 이성적인 사고 자체를 마비시키기까지 한다. 이번 사태는 교과서 문제와 독도 문제가 결합된 것이니 한·일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훨씬 클 것이다.

게다가 이번 일본 교과서 해설서 문제는 종래의 교과서 문제와는 조금 차원이 다르다. 이전에는 역사왜곡과 독도영유권 주장의 주체가 민간 출판사이고 일본 정부는 단지 이를 승인하는 정도의 역할에 머물렀다고 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이번에는 일본 정부가 민간 교과서 작성의 기준이며, 일선 교사들의 학습지도 지침이 되는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왜곡된 역사적 사실, 왜곡된 영유권 주장을 직접 명기했다는 점에서, 일본 정부의 책임이 직접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사태는 일본 사회의 전반적인 보수·우경화와 긴밀히 연결돼 있을 것이다. 일본의 주류 세력은 이웃 국가 한국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부인하지는 않지만 영토문제의 해결도 간과할 수 없는 중차대한 문제라고 보고 있다. 일본 독도 영유권 주장이 정당한지 여부를 떠나 일본은 독도가 자국 영토라고 생각하고 있는 만큼, 일본의 보수 세력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이를 부각시키려 하는 것이다.

일본 측의 의도가 어디에 있든 독도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도 명백한 우리의 영토이다. 따라서 정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 일본정부에 대해 강력히 항의하는 한편, 재발방지를 촉구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처는 \'조용한 가운데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를 강화해 나간다\'는 정부의 일관된 정책기조 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런 측면을 감안하여 해설서 문제에 대한 장기적이고 면밀한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선, 감정적 대응은 대안이 될 수 없다. 무엇이 국익인지 가려볼 줄 아는 혜안이 필요하다. 일본의 조치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일본에 대한 강경한 대응만을 정부에 요구해서는 안 될 것이다. 독도 문제로 우리 여론이 들끓고 이것이 세계 주요 언론의 관심을 끌 때, 세계인들은 일본의 전략대로 독도가 한·일 양국 간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뿐이다. 이는 우리에게 아무런 이익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독도를 분쟁지역화시켜 독도 영유권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ICJ: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로 가져가려는 일본측의 입장만 강화시킬 뿐이다. 그러므로 비록 지금 당장 성에 차지 않더라도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국제사회가 완전히 인정할 수 있도록 국제법적 요건을 하나씩 하나씩 갖추어 나가는 착실한 외교적 노력이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이다.

독도 문제에 대한 단호한 대응은 꼭 필요하다. 그러나 어떠한 대응이 최선인지는 냉정하게 생각해 봐야 한다. 독도는 명백한 우리의 영토이며 우리가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어 일본이 이를 침탈하는 길은 오로지 가능성이 전무(全無)한 \'무력공격\'밖에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독도의 분쟁지역화를 노리는 일본의 술수에 과잉 반응할 필요는 없다. 독도를 진실로 수호하는 길은 단호하되 차분한 대응, 이성적이며 논리적인 접근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

공로명·동서대학 석좌교수·前외무부장관

조선일보/2008년 7월 15일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15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27 객관성·공정성 결여한 앰네스티/김용규
일자: 05-10 | 조회: 1500
2011-05-10
1500
26 특급호텔에는 반드시 한식당을/임성준
일자: 05-10 | 조회: 1360
2011-05-10
1360
25 미국의 외교, 어디로 가나/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19
2011-05-10
1219
열람중 독도 문제, 한 차원 높게/공로명
일자: 05-10 | 조회: 1354
2011-05-10
1354
23 북한 비핵화에 가로놓인 난제들/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309
2011-05-10
1309
22 쇠고기 파동서 본 세계화와 민주주의/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11
2011-05-10
1211
21 포용정책은 북한을 변화시킬 수 없다./소병용
일자: 05-10 | 조회: 1346
2011-05-10
1346
20 ‘핀란드 화’가 우리의 장래일 수는 없다./소병용
일자: 05-10 | 조회: 1420
2011-05-10
1420
19 <국정쇄신안 ‘윤곽’>“대통령·참모 의사소통 돼야”/홍…
일자: 05-10 | 조회: 1280
2011-05-10
1280
18 한일관계의 재인식/홍순영
일자: 05-10 | 조회: 1395
2011-05-10
1395
17 대북정책 어떻게 할 것인가/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12
2011-05-10
1212
16 한·중관계의 재인식/홍순영
일자: 05-10 | 조회: 1323
2011-05-10
1323
15 '카스피해 유전개발' 동참의 의미/태석원
일자: 05-10 | 조회: 1520
2011-05-10
1520
14 마잉주 집권 대만과 한국/손훈
일자: 05-10 | 조회: 1446
2011-05-10
1446
13 한·미 관계, 2003년과 지금/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336
2011-05-10
1336
12 새터민 정책을 업그레이드해야/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358
2011-05-10
1358
11 미·중 관계의 역학과 한국의 전략/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387
2011-05-10
1387
10 재일 한국인에게 지방참정권 부여해야/정찬원
일자: 05-10 | 조회: 1500
2011-05-10
1500
9 Attaining smart power/김재범
일자: 05-10 | 조회: 1322
2011-05-10
1322
8 박길연·이철 북한 외교관의 추억/박수길
일자: 05-10 | 조회: 1979
2011-05-10
1979
7 한·미관계의 재인식/홍순영
일자: 05-10 | 조회: 1432
2011-05-10
1432
6 선진한국의 외교/홍순영
일자: 05-10 | 조회: 1680
2011-05-10
1680
5 새정부 ‘실용외교’에 거는 기대/박수길
일자: 05-10 | 조회: 1622
2011-05-10
1622
4 새로운 퍼스트레이디상(像)을 위하여/이강원(김승영 회원…
일자: 05-10 | 조회: 1624
2011-05-10
1624
3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에게 바란다/박동진
일자: 05-10 | 조회: 1644
2011-05-10
1644
2 통일부와 외교부/홍순영
일자: 05-10 | 조회: 1639
2011-05-10
1639
1 미국이 지도자 국가가 되는 이유/홍순영
일자: 05-10 | 조회: 2079
2011-05-10
2079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