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내일신문> 박병환 / 신북방정책도 용두사미 되나?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10-11 09:57 조회697회 댓글0건

본문

 

 

[신문로] 신북방정책도 용두사미 되나?

 

2019-10-04 10:00:00 게재

 

박병환 전 주러시아 공사

 

 

 

9월초 블라디보스톡에서 제5차 동방경제포럼이 열렸는데 그 기간에 문재인 대통령은 동남아 3개국을 순방했다. 문 대통령은 2017 8월 북방경제협력위를 발족시켰고 다음 달 열린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해 신북방정책을 천명하고 한러 협력을 위한 분야로서 ‘9개다리’를 제시했다.

현 정부의 러시아에 대한 이러한 적극적 자세에 대해 러시아는 문 대통령이 2018 6월 월드컵 계기로 러시아를 방문했을 때 김대중 대통령의 방러 이래 처음으로 국빈 예우로 화답했다. 2018 9월 제4차 동방경제포럼에는 이낙연 총리가 대신 참석했는데 지각대장으로 소문난 푸틴 대통령은 이 총리와 회담 장소에 먼저 와서 기다렸다. 당시 문 대통령은 북한 방문에 앞서 준비에 집중하기 위해 부득이 이 총리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는 동남아 순방 기간과 겹친다는 게 이유였고 총리도 자리를 비우는 것이 적절치 않다고 해 홍남기 부총리를 보냈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 러시아 전문가들은 이런 정부 결정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한국은 러시아 극동지역 개발의 핵심 파트너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이번 동방경제포럼에서 그 존재감은 미미했다. 홍 부총리는 푸틴 대통령과 별도 면담을 갖지 못한 것은 물론 정상급 참석자들 토론에 참여할 수 없었고 한러 세션에 러측에서는 차관급이 참석해 양자 협력 중요성에 대한 진부한 원론적인 이야기만 오고갔으며 남·북·러 세션은 개최되지도 못했다.

이에 반해 일본은 아베 수상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참석했고 남쿠릴열도를 둘러싼 영토 분쟁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8개항의 협력 어젠다를 제시하며 러시아 극동지역에서 협력 강화를 도모했다. 이번에는 인도 모디 총리와 말레이시아 마하티르 총리도 참석해 구체적인 협력 의사를 보였다.

한국 존재감 갈수록 줄어

왜 문 대통령은 태국 미얀마 및 라오스 3개국을 굳이 동방경제포럼 개최 기간에 방문해야 했을까? 11월 부산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개최되는데 그 때 얼마든지 3개국 정상들과 개별적인 회담이 가능하다. 이번 순방 결과에 대한 청와대 발표를 보면 주목할 만한 것이 별로 없고 겨우 ‘대통령 임기 내 아세안 10개국을 방문하겠다’는 공약을 조기에 달성했다고 했는데 이 공약에 관심 갖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돌이켜 보면 최초로 북방정책을 표방했던 노태우정부 시절에는 한국 외교 지평과 한국인의 대외경제활동 무대를 획기적으로 확대하는 성과가 있었다. 하지만 그 이후 특히 러시아와의 협력 측면에서 볼 때 역대 정부는 말의 성찬을 펼치기만 하고 노태우정부 정책을 충실히 계승하지 못했다. 지금과 같이 북핵 위협이 엄중하지도 않았고 심각한 대북 제재라는 걸림돌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진정성을 갖고 추진한 것이 거의 없었다.

이번 정부도 신북방정책이라고 하며 철도 연결, 가스관 건설 전력망 연결 등 해묵은 메가 프로젝트 이야기를 반복하고 동아시아 철도공동체를 거론해 국민들에게 근거 없는 기대감을 불어넣기만 하고 있다. 인터넷에서 가상 유라시아 철도승차권이 인기를 끌었던 일이 아직도 생생하다. 지난 주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연례 한러 경제공동위만 보더라도 서비스 및 투자 분야 FTA 협상을 연내 타결하자는 목표를 제시한 것 외에 주목할 만한 성과가 없어 보인다. 문 대통령이 제시한 소위 ‘9개 다리’ 협력도 아직까지는 이렇다 할 성과가 없다.

미래를 위한 투자 시급

연해주를 비롯한 러시아 극동지방은 저성장의 늪에 빠져있는 한국경제에 돌파구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일과정과 그 이후를 생각할 때 현재는 큰 이익이 보이지 않는다 하더라도 미래를 위해 투자를 해두어야 하는 곳이다. 한국 기업들이 근시안적으로 단기 이익에 급급해 하는 자세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한국은 유라시아 진출에 있어 중국과 경쟁에서 당연히 패배하고 말 것이다. 벌써 현 정부가 집권 3년차로 접어들었으나 가까운 장래에 푸틴 대통령 방한 계획에 대해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는 것은 이 정부가 표방하는 대 러시아 정책에 비추어 볼 때 이해하기 어렵다.

러시아는 전략적 관점에서 통일한국의 출현에 대해 호의적인 입장이며 유라시아 진출에 있어서 핵심 파트너이다. 러시아가 한국에 멍석을 깔아주려고 하나 역대 정권은 보수 진보를 막론하고 출범 초기에 반짝 관심을 보였다가 시간이 지나면 관심이 사그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현 정부도 그런 길을 걷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가 기우이길 바란다.

 

logo

㈜내일신문 | 대표 장명국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 51953 등록일자 : 2018.12.06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92, 13(순화동, KG Tower) 02-2287-2300
웹사이트    운영대행사 : ()내일이비즈 01-86-52538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2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417 [신간] 손상하 / 무슨 사연이 있어 왔는지 들어나 봅…
일자: 07-10 | 조회: 813
2020-07-10
813
416 <미래한국> 송종환 / [ 6·25전쟁 70주년 연속기…
일자: 07-07 | 조회: 1345
2020-07-07
1345
415 <KIMS Periscope> 정해문 / 코로나 사태와…
일자: 07-03 | 조회: 469
2020-07-03
469
414 <문화일보> 6.25 바르게 가르칠 국민운동 필요하다
일자: 06-29 | 조회: 542
2020-06-29
542
413 [신간] 최재철 / 기후협상일지 (박영사, 2020.5…
일자: 06-19 | 조회: 502
2020-06-19
502
412 [신간] 백범흠 / 지식인을 위한 한중일 4000년 (…
일자: 06-12 | 조회: 1616
2020-06-12
1616
411 [신간] 박병환 / 한국 외교에는 왜 러시아가 없을까?…
일자: 06-08 | 조회: 633
2020-06-08
633
410 <내일신문> 박병환 / 북한 변화 가능성과 러시아의 선…
일자: 05-18 | 조회: 611
2020-05-18
611
409 [신간] 조현 / 한국 대사의 인도 리포트 (공감, 2…
일자: 05-13 | 조회: 659
2020-05-13
659
408 [신간] 권세중 / 북한 에너지, 미래를 위한 협력과 …
일자: 04-24 | 조회: 658
2020-04-24
658
407 <내일신문> 박병환 / 국제유가 러시아 손에 달렸다
일자: 04-06 | 조회: 661
2020-04-06
661
406 <프레시안> 박병환 / 러시아가 필요하다 (2020.3…
일자: 03-23 | 조회: 793
2020-03-23
793
405 <KIMS Periscope> 김재범 / 국군 전시작전…
일자: 03-23 | 조회: 720
2020-03-23
720
404 협회장, 매일경제TV 인터뷰 (2020.3.6)
일자: 03-09 | 조회: 583
2020-03-09
583
403 [신간] 임한택 / 국제법 이론과 실무 (박영사, 20…
일자: 03-05 | 조회: 672
2020-03-05
672
402 <중앙일보> 연상모 / 중국 현대사 관통하는 마오쩌둥식…
일자: 02-19 | 조회: 1342
2020-02-19
1342
401 [신간] 김석규 / 외교관 40 (예지출판사, 2019…
일자: 02-18 | 조회: 948
2020-02-18
948
400 협회장, 내일신문 인터뷰 (2020.2.13)
일자: 02-13 | 조회: 568
2020-02-13
568
399 협회장, 서울경제 인터뷰 (2020.2.7)
일자: 02-13 | 조회: 516
2020-02-13
516
398 협회장, 한국경제 인터뷰 (2020.1.20)
일자: 02-13 | 조회: 503
2020-02-13
503
397 협회장, 문화일보 인터뷰 (2020.1.8)
일자: 02-13 | 조회: 477
2020-02-13
477
396 [신간] 소진철 / 내가 본 大百濟 (주류성출판사, 2…
일자: 02-04 | 조회: 608
2020-02-04
608
395 <내일신문> 이선진 / 2020년 아세안 경제를 주목하…
일자: 01-16 | 조회: 503
2020-01-16
503
394 <내일신문> 박병환 / 러시아는 북한과 동맹 관계는 아…
일자: 01-06 | 조회: 607
2020-01-06
607
393 <아시아경제> 송금영 / 올해도 북핵문제 해결 난망
일자: 01-03 | 조회: 659
2020-01-03
659
392 <내일신문> 박병환 / 한국의 러시아 혐오증과 공포증
일자: 11-29 | 조회: 888
2019-11-29
888
391 [신간] 한동만 / 대한민국의 신미래전략, 아세안이 답…
일자: 11-20 | 조회: 756
2019-11-20
756
390 [국립외교원 아세안인도연구센터] 한-아세안 외교 30년…
일자: 11-18 | 조회: 805
2019-11-18
805
389 <내일신문> 박병환 / 4차 산업혁명 파트너가 될 수 …
일자: 11-04 | 조회: 941
2019-11-04
941
열람중 <내일신문> 박병환 / 신북방정책도 용두사미 되나?
일자: 10-11 | 조회: 698
2019-10-11
698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