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서울경제> 송금영 / 러시아, 아프리카에 복귀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9-23 10:15 조회1,027회 댓글0건

본문

[기고] 러시아, 아프리카에 복귀하다

송금영 전 주탄자니아 대사

  • 2019-09-20 17:20:51     
[기고] 러시아, 아프리카에 복귀하다
최근 러시아 정부는 10월23일부터 24일까지 소치에서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정상회의 개최는 탈냉전에 접어든 후 30년 만에 러시아의 아프리카 복귀를 의미한다. 러시아의 복귀 배경에는 아프리카와 군사적·경제적 협력을 강화하고 강대국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하는 데 있다.

무엇보다도 러시아는 무기 수출에 관심이 많다. 러시아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무기 수출국이며 아프리카는 러시아의 최대 무기시장이다. 러시아는 2014~2018년 아프리카 무기시장의 38%를 점유해 1위를 차지했으며 2017년 아프리카 무기 수출액은 22억달러에 달했다.

러시아는 12억 인구의 아프리카에 대한 경제적인 진출에도 적극적이다. 2006~2018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와 러시아 사이의 무역은 335%나 급증했으며 2017년 무역규모는 174억달러에 육박했다. 특히 러시아는 에너지 분야 진출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러시아는 알제리·이집트·모잠비크에서 원유를 개발하며 나이지리아와 이집트에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경제통합이 러시아에 매력적이다. 5월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가 22개국 비준을 거쳐 출범했다. AfCFTA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현재 역내무역이 17%에서 52%로 증가하며 GDP 3조4,000억달러의 세계 최대 자유무역지대로 부상할 것이다.

최근 러시아의 성공적인 시리아 개입이 아프리카 진출에 추동력이 됐다. 2015년 미국의 반대에도 시리아 내전에 개입한 러시아는 지난 4년간 시리아 반군을 격퇴하고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정권을 유지함으로써 지중해와 중동에서 영향력은 물론, 강대국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했다. 이어서 시리아를 교두보로 아프리카 진출을 본격화했다.

한편 아프리카 국가들은 미국·중국 등 강대국들의 과도한 개입을 견제하고 군사적·경제적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러시아의 진출을 환영하고 있다. 특히 서방의 무기 금수와 경제제재 조치를 받고 있는 아프리카 개도국들은 러시아와 적극적인 협력을 희망한다. 러시아도 유엔에서 지지 확보를 위해 30%의 투표권을 보유하는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2018년 28개 아프리카 국가들은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을 규탄하는 유엔 총회의 결의안 표결에 대해 러시아에 동조해 기권했다.

최근 러시아의 복귀로 아프리카에서 미국·유럽연합(EU)·중국·인도·일본 등 주요 국가들의 패권경쟁이 보다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중심의 민주적인 국제질서가 퇴조하고 신냉전의 다자적인 국제질서로 개편되면서 아프리카가 강대국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최근 주요국들은 천연자원의 보고이자 세계의 마지막 미개척 시장인 아프리카 진출을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가 후발주자로 공세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러시아의 아프리카 진출 전략과 이에 대한 아프리카 국가들과 주요국들의 반응을 봐가면서 외교 인프라 확충 등 아프리카 진출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모색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3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387 [신간] 서현섭 / 일본 극우의 탄생 메이지유신 이야기…
일자: 10-07 | 조회: 740
2019-10-07
740
열람중 <서울경제> 송금영 / 러시아, 아프리카에 복귀하다
일자: 09-23 | 조회: 1028
2019-09-23
1028
385 [신간] 정찬원 / 천명(天命) (도서출판 문, 201…
일자: 09-18 | 조회: 719
2019-09-18
719
384 <내일신문> 박병환 / 러시아의 영공 침범으로 드러난 …
일자: 08-26 | 조회: 932
2019-08-26
932
383 [신간] 백범흠 / 통일, 외교관의 눈으로 보다 (늘품…
일자: 08-21 | 조회: 1646
2019-08-21
1646
382 [신간] 백주현 / 영사 법무학 개론 (글로벌콘텐츠, …
일자: 08-13 | 조회: 965
2019-08-13
965
381 [신간] 민동석 / 외교관 국제기구 공무원 실전 로드맵…
일자: 07-29 | 조회: 680
2019-07-29
680
380 <국가미래연구원 HP> 송종환 / 최근 한·일 충돌 원…
일자: 07-25 | 조회: 830
2019-07-25
830
379 <내일신문> 박병환 / ‘러시아제 불화수소’ 언론 보도…
일자: 07-22 | 조회: 743
2019-07-22
743
378 [신간] 김창규 / 눈먼 자들의 질주 (씨마스, 201…
일자: 07-19 | 조회: 862
2019-07-19
862
377 <경향신문> 송금영 / 카자흐스탄 토카예프 대통령 취임…
일자: 06-28 | 조회: 836
2019-06-28
836
376 [신간] 라종일 / 세계와 한국전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일자: 06-21 | 조회: 724
2019-06-21
724
375 [신간] 윤영관 외 / 북한의 오늘 Ⅱ (늘품플러스, …
일자: 06-20 | 조회: 714
2019-06-20
714
374 [신간] 송종환 외 / 평화와 통일 박정희에게 길을 묻…
일자: 06-20 | 조회: 1129
2019-06-20
1129
373 <내일신문> 박병환 / 어떤 러시아 학자의 '코리아 선…
일자: 06-20 | 조회: 1106
2019-06-20
1106
372 <프레시안> 박병환 / 북러 정상회담, 단순히 러시아의…
일자: 05-03 | 조회: 784
2019-05-03
784
371 [신간] 조병제 / 북한, 생존의 길을 찾아서 (늘품플…
일자: 05-02 | 조회: 771
2019-05-02
771
370 [신간] 정종욱 / 정종욱 외교 비록 (기파랑, 201…
일자: 04-30 | 조회: 912
2019-04-30
912
369 <한미우호협회 - 영원한 친구들> 송종환 / 제2차 미…
일자: 04-18 | 조회: 825
2019-04-18
825
368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From civilizati…
일자: 04-18 | 조회: 991
2019-04-18
991
367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A new world ord…
일자: 04-18 | 조회: 1704
2019-04-18
1704
366 [신간] 백주현 / 핵무기를 버리고 경제건설하는 카자흐…
일자: 03-14 | 조회: 792
2019-03-14
792
365 <경향신문> 위성락 / 눈앞 성과보다 큰 틀의 합의로 …
일자: 02-25 | 조회: 1099
2019-02-25
1099
364 [신간] 이용준 / 대한민국의 위험한 선택 (기파랑, …
일자: 02-08 | 조회: 855
2019-02-08
855
363 [신간] 유주열 / 한중일 삼국문화의 신실크로드 (보문…
일자: 02-08 | 조회: 777
2019-02-08
777
362 [신간] 송금영 / 유라시아를 정복한 유목민 이야기 (…
일자: 01-31 | 조회: 650
2019-01-31
650
361 [신간] 황용식 / 외교관이 되는 길 (2018.9)
일자: 01-31 | 조회: 863
2019-01-31
863
360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How to deal wit…
일자: 01-31 | 조회: 692
2019-01-31
692
359 [신간] 정상천 / 파리의 독립운동가 서영해 (산지니,…
일자: 01-31 | 조회: 783
2019-01-31
783
358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10 major world …
일자: 01-31 | 조회: 715
2019-01-31
715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