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내일신문> 이선진 / 갈림길에 서있는 한국외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01-18 09:55 조회525회 댓글0건

본문

 

[이선진 칼럼] 갈림길에 서있는 한국외교

2019-01-17 11:54:45 게재

금년은 문재인정부가 후반기에 접어드는 해이다. 지난 정부들이 정권초기의 목표에 집착하여 후반기까지 국제정세 흐름에 역주행한 채 물러났다는 점에서 금년 외교를 주목한다. 이에 더해 한반도는 작년에 비하여 국제정치 지각변동의 영향을 훨씬 많이 받을 것이다. 한국 외교는 갈림길에 서있다.

갈림길에서, 국제정치의 지각변동을 직시할 필요를 특히 강조하고 싶다. 미국은 그동안 세계화 민주주의 국제협력의 틀을 발전시켰으나 트럼프의 ‘미국 제일주의’는 이를 깨고 있다. 국내적 분열이 심각하여 미국의 퇴조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국도 국제질서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일대일로’를 시행해온 지난 5년 동안 패권적 외교행태를 보이고 국내적으로 과거 회귀적인 권위주의를 강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국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한 결과, 두 대국의 경쟁과 대립이 정치 군사 경제 이념 세계전략 등 전면전 양상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미국의 아시아 전략이 변하고 있다. 오바마 행정부까지는 아시아 전략의 중심을 동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두었다. 그러나 이제는 동남아 인도양 남태평양 지역으로 전략의 초점을 이동하고 있다. ‘인도. 태평양 전략’(FOIP) 으로, 일대일로에 대응하고 중국의 ‘해양’패권을 저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일본의 움직임도 예사롭지 않다. 중국과 일대일로 사업에 협력하기로 합의하면서도 자위대의 전력증강 계획을 지속하고 있다. 나아가, 일본 잠수함이 작년 처음으로 남중국해를 지나 인도양까지 진출하였고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안보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들도 꿩(미국) 대신 닭이라고 일본의 지원을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중. 일 군사경쟁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지각변동이 우리에게 여러 가지 충격을 주고 있다. THAAD 사태가 그 예이고 일 년 전에도 경험하였다. 북한의 핵. 미사일 도발에 대응하여 미군의 북한 공격 설 (‘코피’작전)이 널리 퍼져있었다. 세계 언론은 연일 ‘코피’ 작전의 가능성을 두고 한반도 정세를 톱뉴스로 다루었다. 그러나 서울 분위기는 ‘설마’라는 생각에서 평온하였고 미군의 전략무기 배치에도 박수를 보냈다. 당시의 긴박한 상황과 우리의 ‘설마’를 생각하면 지금도 소름이 끼친다.

초기 열정과 자신감의 회복 필요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남북한 대화가 성사되었고 북/미, 북/중대화로 이어지면서 한반도 정세가 전환되었다. 뿐만 아니라, 작년 6월 김정은-트럼프 회담이후 대화열기가 수그러들었음에도 불구, 우리가 남북한 대화와 협력을 진전시킴으로써 북한이 돌발사태를 일으키지 않고 대화분위기를 깨지 않도록 한 것도 평가 받을 만 하다.

지금 단계에서 한국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외교 시스템의 전환을 먼저 꼽고 싶다.

첫째, 문대통령의 초기 열정과 자신감의 회복이다. 문대통령은 작년 세 차례 남북한 정상회담을 실현시켰고, 한반도 긴장구조를 대화구조로 바꾼 장본인이다. 그럼에도 불구, 최근 들어 국내외적으로, 특히 해외에서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작년 11월 싱가포르 동아시아정상회의와 파푸아뉴기니 APEC 정상회의에서 대통령의 활약상이 기대 이하였다. 아세안은 한국 경제의 주요 파트너이자 (연간 400 억 달러 무역흑자), 대북한 정책의 후원세력이 될 나라들이다. 그러나 문대통령은 아세안 정상들에게 자신의 비전을 자신감 있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경제문제, 신 남방정책, 2019년 한국 개최 한. 아세안 정상회의 등 의제가 많았지만 몇 나라하고만 개별회담을 가졌다. 맥 빠진 모습을 보였다.

둘째, 북한 문제의 초기성과가 한계 효용에 달했다. 다음 단계의 비전이 필요하다. 며칠 전 병원에서 단골의사의 한마디가 뇌리를 떠나지 않는다. 그는 단시일 내 해결되지 않을 북한 문제 때문에 경제를 소홀히 하였다고 비판하였다. 3개월 전 부산 택시 기사도 비슷한 이야기를 하였다. 경제가 안 좋은데 북한 문제에만 매달려있다는 불만이다.

 

외교 안보 체제를 정비할 필요

다음 단계의 비전은 미중 대립의 성격과 국제정치와 경제의 흐름을 담아야 한다. 문대통령은 국내 북한, 국제정치 전문가들과 정례적 회합을 가지고, 해외 석학들을 수시로 초치하여 조언을 들어야 한다.

셋째, 외교 안보 체제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북한 정책, 신 북방정책, 신 남방정책이 정책적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따로 놀고 있다. 정권 초기 청와대에 특별위원회를 설치하여 새로운 전략의 틀을 만드는 것은 좋다. 그러나 그 기간은 단기간이어야 하고, 정책집행은 정부 부처로 넘겨야 한다. 특별위원회가 집행까지 책임지게 되면, 지속성이 결여된 정책을 남발하게 된다. 현재 회자되고 있는 “이 정부에서 외교는 누가 하는 거야”라는 질문을 아프게 받아들여야 한다.

과거 일부 대통령들이 ‘우물 안 개구리’식 편견과 오만으로 폐쇄적 정책결정에 안주하여 외교적 오류를 범하였고 그 부담을 다음 정권에게 지웠다. 북한 압박 일변도와 일본 때리기가 그 예이다. 한국 외교의 갈림길에서, 현 정부도 같은 오류를 범하지 않기 바란다.

이선진 전 주인도네시아 대사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4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357 [신간] 이용준 / 북핵 30년의 허상과 진실 (한울,…
일자: 01-31 | 조회: 883
2019-01-31
883
356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Transformation …
일자: 01-31 | 조회: 968
2019-01-31
968
355 [신간] 고창수 / 말이 꾸는 꿈 (리토피아, 2018…
일자: 01-31 | 조회: 623
2019-01-31
623
열람중 <내일신문> 이선진 / 갈림길에 서있는 한국외교
일자: 01-18 | 조회: 526
2019-01-18
526
353 <미래한국> 송종환 / 미국 동포들, 비핵화·모국의 안…
일자: 01-16 | 조회: 688
2019-01-16
688
352 <내일신문> 이선진 / 미국 ‘인도·태평양 전략’과 중…
일자: 12-17 | 조회: 743
2018-12-17
743
351 <내일신문> 이선진 / 마하티르 총리의 재기를 주목하라
일자: 11-19 | 조회: 1152
2018-11-19
1152
350 <내일신문> 이선진 / 동북3성에서도 뻗어가는 중국 힘…
일자: 09-17 | 조회: 1754
2018-09-17
1754
349 <미래한국> 송종환 / 박정희 대통령의 ‘8․15 평화…
일자: 08-30 | 조회: 2495
2018-08-30
2495
348 <미래한국> 송종환 / 우리가 요구해야 할 종전선언과 …
일자: 08-30 | 조회: 1762
2018-08-30
1762
347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Changing tripar…
일자: 07-24 | 조회: 2487
2018-07-24
2487
346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Peace regime an…
일자: 07-24 | 조회: 2126
2018-07-24
2126
345 <내일신문> 이선진 / 북미협상에만 매달릴 것인가
일자: 07-16 | 조회: 1988
2018-07-16
1988
344 <농촌여성신문> 한태규 / 한·미·북 3자회담이 한반도…
일자: 07-04 | 조회: 2468
2018-07-04
2468
343 <내일신문> 이선진 / 파격에 희망을 건다
일자: 06-25 | 조회: 2831
2018-06-25
2831
342 <문화일보> 송종환 / 대화로 북한 핵 폐기할 마지막 …
일자: 06-05 | 조회: 2846
2018-06-05
2846
341 <조선일보> 송종환 / 北, 핵폐기 아닌 보유국 선언.…
일자: 06-05 | 조회: 2559
2018-06-05
2559
340 <세계일보> 이호진 / 트럼프의 덫… 김정은 핵포기만 …
일자: 06-05 | 조회: 2288
2018-06-05
2288
339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Agenda items fo…
일자: 06-05 | 조회: 1684
2018-06-05
1684
338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Why has North K…
일자: 06-05 | 조회: 1264
2018-06-05
1264
337 <국민일보> 최영진 / 북한 내부가 문제다
일자: 06-05 | 조회: 942
2018-06-05
942
336 <동아일보> 천영우 / 북한 김정은, 이성적 지도자인가
일자: 06-05 | 조회: 840
2018-06-05
840
335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North Korea’s n…
일자: 06-05 | 조회: 943
2018-06-05
943
334 <미래한국> 송종환 / 北 선전 공세에 낚인 南정부
일자: 06-05 | 조회: 842
2018-06-05
842
333 <동아일보> 천영우 / 트럼프 공언이 ‘코리아 패싱’ …
일자: 06-04 | 조회: 864
2018-06-04
864
332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President Moon’…
일자: 06-04 | 조회: 981
2018-06-04
981
331 <코리아헤럴드> 송종환 / Misunderstandin…
일자: 06-04 | 조회: 1052
2018-06-04
1052
330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War of words be…
일자: 06-04 | 조회: 1026
2018-06-04
1026
329 <조선일보> 박상기 / '미국 우선주의' 통상 압박, …
일자: 06-04 | 조회: 939
2018-06-04
939
328 <자유칼럼> 정달호 / 시몬 베이유 여사의 검소한 장례
일자: 06-04 | 조회: 940
2018-06-04
940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