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외교열전> 장재룡 / 北 오래 못간다 보고 접근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3-08-16 23:43 조회2,378회 댓글0건

본문

 


\'日침략사죄\' 무라야마 담화 나오기까지



▲장재룡 전 대사 인터뷰,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1993~94년 1차 북핵위기 때 외무부 미주국장으로 있으며 북미 제네바 협상 과정의 대북정책 수립과 추진에 깊이 관여했던 장재룡 전 프랑스 대사가 지난 4일 서울 세종로의 한 카페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13.1.14 pdj6635@yna.co.kr

北우라늄 첩보 당시에도 있었다.."단순첩보라 주목안해"

장재룡 전 대사 회고.."北존재 인정하고 큰틀 협의체 만들어야"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기자 = 1993년 3월12일. 김영삼 정부가 출범한 지 보름이 막 지난 시점에 북한은 중대 발표를 했다.

1차 북핵위기의 시작을 알리는 정부 명의의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성명으로 이는 사실상 핵무기를 개발하겠다는 선언이었다.

바로 전날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씨의 송환을 결정한 우리 정부로서는 북한의 발표는 믿기 어려운 내용이었다. 김영삼 정부가 출범하면서 외무부 미주국장(전 차관보ㆍ프랑스대사)으로 임명된 장재룡 국장에게도 북한의 NPT 탈퇴 발언은 뜻밖이었다.

당시에는 북한의 이 발표로 조성된 한반도 긴장이 다음해 10월 제네바에서야 풀릴 거라고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

◇미국을 통해 북과 협상 = 북한의 발표로 한미 양국에 비상이 걸렸다.

NPT 탈퇴는 당사국의 선언으로 3개월 뒤에 발효되기 때문에 북한을 국제적인 핵 통제 아래에 두려면 이 기간에 북한과 승부를 봐야 했다. 그러나 정부는 시작과 동시에 근본적인 문제에 부딪혔다.

당시 김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어느 동맹국도 민족보다 나을 수는 없다"고 강조했고 우리 국민도 한반도 문제는 당연히 남한이 주도해 푸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북한은 미국과의 대화만을 고집했고 정부는 선택을 해야 했다.

정부는 내부 협의를 거쳐 미국이 한국을 대리해 북한과 교섭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형식은 미북 대화지만 그 대화의 알맹이는 한미협의를 통해 한국이 제공하는 것으로 채운다"는 일종의 고육지책이었다.

이런 원칙이 세워진 뒤 한미일 차관보급 회의(3월), 국장급 회의(4월) 등 접촉이 이뤄졌다. 미국은 이 협의들을 토대로 6월 2~11일 북한과 고위급 접촉을 갖고 북한의 NPT 탈퇴 효력정지 합의를 이끌어냈다.

발등의 불은 일단 꺼졌다. 그러나 본경기는 그때부터 시작됐다. 특히 북미대화를 통한 해결이란 전략적 선택은 1차 북핵위기 내내 우리 정부에 큰 부담이 됐다.

"당사자인 한국이 왜 뒷전에 있느냐"는 여론이 비등할 때마다 정부는 강하게 나갈 수밖에 없었다. 한국의 이런 기조 변화는 미국, 북한의 태도에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줬다. 북한의 벼랑끝 전술과 함께 한반도 정세는 그야말로 롤러코스터를 탔다.

1차 북핵위기 때 한국 정부의 입장은 여론의 풍향에 따라 냉ㆍ온탕을 오갔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쟁 위기\'로..美측과 미군가족 대피방안 협의 =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사찰과 팀스피리트훈련 중단 등을 놓고 지루하게 진행된 한미 및 북한간의 줄다리기는 1994년 3월19일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 특사교환 실무협의에서 박영수 북측 대표단장이 "서울도 불바다가 될 수 있다"는 협박 발언을 하면서 북핵위기는 전쟁 위기로 비화했다.

일부 국민 사이에서는 생필품 사재기 열풍이 불었다. 한미 양국은 유사시에 대비해 군 특별 경계강화령(3월22일), 패트리엇 미사일 1차 한국 배치(4월18일) 등의 조치를 취하며 분주히 움직였다. 이에 대해 북한은 5MW 원자로 무단인출(4월19일)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고 상황은 파국을 향해 치달았다.

미국이 북한에 대한 유엔 차원의 제재 외에 무력제재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는 말이 그때 나돌았다. 북한에 대한 공중폭격 준비설도 나왔다.


연합뉴스와 인터뷰하는 장재룡 전 대사
▲연합뉴스와 인터뷰하는 장재룡 전 대사,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1993~94년 1차 북핵위기 때 외무부 미주국장으로 있으며 북미 제네바 협상 과정의 대북정책 수립과 추진에 깊이 관여했던 장재룡 전 프랑스 대사가 지난 4일 서울 세종로의 한 카페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13.1.14 pdj6635@yna.co.kr

주한 미국 대사관은 그해 6월 외교부와 주한미군 가족 소개령을 실행할 경우 집결장소, 운송 수단 등에 대한 실무 협의을 진행하기도 했다.

장 전 대사는 당시 상황에 대해 "민심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협의 사실에 대한 보안을 중요시했다"면서도 "미국에 자제를 요청할 상황은 아니었다"고 회고했다.

그러나 바로 직후 예고에 없이 방북한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김일성 주석과 면담, 상황은 급반전됐다.

김일성 주석 사망 등의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북미는 그해 10월 제네바 합의를 탄생시켰다.

대북 경수로 지원과 북한의 핵 포기 등을 골자로 하는 이 합의는 2002년 북한이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을 시인하면서 파기됐다.

그러나 제네바 합의는 탄생 때부터 그런 운명을 갖고 있었다.

장 전 대사는 "제네바합의 당시 (한미의) 기본 생각은 북한이 곧 망할 것이라는 것"이라면서 "일단 망할 때까지 상황을 관리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순조롭게 이행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북핵 문제에 대한 한미의 이런 태도는 1차 북핵 위기가 한창이던 1993년 7~8월께 첩보를 다루는 방식에서도 드러났다.

미측은 당시 북한이 우라늄 농축과 관련된 장비 반입을 시도한다는 첩보를 입수했으며 우리측에도 한차례 그런 내용이 전달됐다.

당시 한미의 관심사는 영변 원자로와 이를 통한 플루토늄 추출이었는데 이 첩보가 사실이라면 북한은 플루토늄 말고 우라늄으로도 핵무기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는 뜻이었다.

장 전 대사는 "북한은 당시 플루토늄 문제와 관련해서 양보하는 듯한 태도를 취할 때였다"면서 "북한의 태도 변화가 우라늄 관련 첩보와 관련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개인적으로 잠깐 한 적이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당시 우라늄에 대한 문제의식이 없었고 단순한 첩보라는 점, 북한 체제가 오래 못 간다는 전망 등이 이유가 돼 이 첩보는 묻혔다. 그리고 이 첩보는 2002년 현실화됐다.

장 전 대사는 앞으로의 북핵정책에 대해 "핵 문제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북한의 존재를 인정하고 북한문제를 다루는 큰 틀의 협의체를 만들어야 핵 문제의 해결 방안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장재룡 전 대사 = 외교부의 대표적인 미국통 인사로 재직시 온화한 성품에 치밀한 일 처리가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았다.

1993~94년 1차 북핵위기 때 미주국장으로 있으면서 북미 제네바 협상 과정의 대북정책 수립과 추진에 깊이 관여했다. 또 한ㆍ미ㆍ일 고위정책협의회(TCOG) 한국측 수석대표, 남ㆍ북ㆍ미ㆍ중 4자회담 한국 수석대표 등도 지내면서 대북 문제를 다뤘다.

▲경북 상주(67) ▲북미과장 ▲주미 참사관 ▲주멕시코 공사 ▲미주국장 ▲주미 공사 ▲주베네수엘라 대사 ▲차관보 ▲남ㆍ북ㆍ미ㆍ중 4자회담 한국수석대표 ▲프랑스 대사

solec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3/01/14 07:01 송고
출처 : http://www.yonhapnews.co.kr/special/2013/01/13/1438010000AKR20130113049700043.HTML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6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297 <광화문 문화포럼> 정태익 / 동북아 국제질서 …
일자: 11-21 | 조회: 1263
2013-11-21
1263
296 <중도일보> 김현중 / '정글만리' 견문록
일자: 11-05 | 조회: 2234
2013-11-05
2234
295 <동아일보> 이병국 / 前대사 34명이 ‘개도국…
일자: 11-05 | 조회: 2140
2013-11-05
2140
294 <조선일보> 강대현 / 사모아에 묻힌 원양 선원…
일자: 11-05 | 조회: 1850
2013-11-05
1850
293 <국민일보> 김석우 / 한국사회 봉사정신 누가 …
일자: 11-05 | 조회: 1353
2013-11-05
1353
292 <대전일보> 김현중 / 재외동포는 귀중한 <…
일자: 11-05 | 조회: 1675
2013-11-05
1675
291 <매일경제> 백낙환 / 한-베트남 이젠 新동반자…
일자: 11-05 | 조회: 2097
2013-11-05
2097
290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Two differe…
일자: 11-05 | 조회: 1588
2013-11-05
1588
289 <인민일보> 박종선 / 중국경제 편승할 대중국 …
일자: 11-05 | 조회: 2023
2013-11-05
2023
288 <월간바둑> 서대원 / 인천에서 바둑 메달 경쟁…
일자: 11-05 | 조회: 1495
2013-11-05
1495
287 <중앙일보> 유주열 / [백가쟁명:유주열] 또 …
일자: 09-12 | 조회: 1661
2013-09-12
1661
286 <외교열전> 유광석 / 세계에서 처음으로…한미 …
일자: 08-29 | 조회: 2433
2013-08-29
2433
285 <MBN> 전상진 / 올림픽유치와 외교부의 역할
일자: 08-16 | 조회: 1619
2013-08-16
1619
284 <외교열전> 김태지 / '日침략사죄' 무라야마 …
일자: 08-16 | 조회: 2487
2013-08-16
2487
283 <외교열전> 최봉름 / 이라크서 맞은 두번의 전…
일자: 08-16 | 조회: 1724
2013-08-16
1724
282 <외교열전> 박인국 / 긴박했던 '천안함·연평도…
일자: 08-16 | 조회: 2754
2013-08-16
2754
열람중 <외교열전> 장재룡 / 北 오래 못간다 보고 …
일자: 08-16 | 조회: 2379
2013-08-16
2379
280 <외교열전> 신동원 / '북방외교 시초' 한ㆍ헝…
일자: 08-16 | 조회: 1631
2013-08-16
1631
279 <외교열전> 유병우 / `위안부 강제동원 인정'…
일자: 08-16 | 조회: 2668
2013-08-16
2668
278 <외교열전> 황장엽을 한국으로 한중협상 `막…
일자: 08-16 | 조회: 1534
2013-08-16
1534
277 <INEPA> 포르투갈 정부 강대현 국제교류증진…
일자: 01-21 | 조회: 2177
2013-01-21
2177
276 <외교열전> 일사천리'로 탄생한 남북 첫 유엔공…
일자: 11-30 | 조회: 2055
2012-11-30
2055
275 <외교열전> JFK가 박정희 방일 요구했다 /…
일자: 11-30 | 조회: 1843
2012-11-30
1843
274 <외교열전> 불법조업 막아라
일자: 10-30 | 조회: 2159
2012-10-30
2159
273 <국민일보> 시론-대선 후보들 외교전략 밝혀라 …
일자: 09-26 | 조회: 2154
2012-09-26
2154
272 <문화일보> 외교史전시관 설립 결심 / 권영민
일자: 08-16 | 조회: 2260
2012-08-16
2260
271 등산을 하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 최용삼
일자: 07-12 | 조회: 1588
2012-07-12
1588
270 <중앙일보> 콘도르가 된 8인의 영웅 / 박희권…
일자: 06-26 | 조회: 1879
2012-06-26
1879
269 <중앙일보> 동해를 부르는 ‘제3의 명칭’ / …
일자: 03-28 | 조회: 1666
2012-03-28
1666
268 <뉴데일리> 통상교섭본부에 박수 보낸다 / 이재…
일자: 03-21 | 조회: 1912
2012-03-21
1912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