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중앙일보> 연상모 / 중국 현대사 관통하는 마오쩌둥식 변증법 ‘7대 3 법칙’

페이지 정보

작성일2020-02-19 09:30 조회1,150회 댓글0건

본문

 

 

[차이나인사이트] 중국 현대사 관통하는 마오쩌둥식 변증법 ‘7대 3 법칙’

연상모 성신여대 동아시아연구소 연구위원   

    

“7대3의 법칙은 현대 중국의 전략적 유연성을 상징하는 개념이다.
대내외적으로 곤경에 처했을 때 체면과 명분을 잃지 않는 가운데
고통스러운 현실을 실용주의적으로 수용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목표를
최종적으로 달성하려는, 중국인 특유의 강인하고 오묘한 전략이다.”
중국식 전략적 사고와 실용주의의 뿌리
0002976528_001_20200219070228540.jpg?type=w430 

덩샤오핑(오른쪽)은 1981년 공산당 회의에서 ’마오쩌둥(왼쪽)의

공과 잘못은 7대 3“으로 규정해 과거사를 정리했다. [중앙포토]  

 

미·중 무역전쟁이 지난달 1단계 합의 서명으로 고비를 넘었다. 하지만 이 합의를 미·중 경쟁의 종결로 보는 이는 아무도 없다. 중국을 ‘전략적 경쟁자’로 규정하고 억제하려는 미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 이에 맞서는 중국의 대응책은 무엇일까. 저명한 국제정치학자인 진찬룽(金燦榮) 인민대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앞으로 10년이 고비라고 예상한다. 향후 10년은 70%는 경쟁하고 30%는 협력하는 중·미 간의 ‘신창타이(新常態)’가 전개될 것이다. 중국이 이 고비를 잘 넘기면 중국의 덩치는 더욱 커져 미국의 대중 정책이 변하게 될 것이다.” ‘70% 경쟁과 30% 협력’이란 표현이 흥미롭다. ‘7대 3의 법칙’이 중국의 전략적 사고에서 여전히 살아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7대 3의 법칙’은 뛰어난 전략가였던 마오쩌둥(毛澤東)과 관련이 있다. 마오 자신이 이 법칙을 주도적으로 사용했고, 이후 지도자들과 전략가들이 이 법칙을 응용해 왔다. 그 사례들을 보자. 첫째, 마오는 중국의 공산혁명을 실현하려는 초기부터 농촌과 도시의 관계에서 ‘7대 3의 법칙’을 언급했다. 도시노동자가 주도하는 공산혁명을 권고한 소련의 방침을 거부하고, 중국은 농민이 다수이기 때문에 농촌 70%, 도시 30%의 비중으로 공산혁명을 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농촌을 혁명기지화하고 농민을 혁명의 주체세력으로 만들어서 도시를 포위하는 전략을 사용하여 성공했다. 혁명을 성취한 공(功)의 70%를 농민에게, 30%는 도시노동자와 군대에 돌렸다.

0002976528_002_20200219070228561.jpg?type=w430 
장제스  

 

둘째, ‘7대 3의 법칙’은 마오의 주적이었던 국민당의 장제스(蔣介石)에게도 나타난다. 1920년대에 국민당은 압도적인 힘의 우위를 갖고 공산당을 무력으로 섬멸하려 했다. 하지만 초기에 국민당은 공산당에 연전연패했다. 그러자 장은 국민당의 연패 이유를 분석했다. 그의 분석에 따르면, 마오가 구사했던 무력전이란 불과 20%에도 못 미쳤고, 마오에게 있어서 실제로 중요한 것은 총체적 정치전이었다. 장은 특단의 책략을 세웠으며, 그 주요 내용은 ‘삼분군사(三分軍事) 칠분정치(七分政治)’였다. 군사력에만 의존해온 그간의 정책이 실책임을 통감하고 마오의 전략전술을 거꾸로 이용한 것이다. 결국 장은 군사부문은 30%에 불과하고 선전전과 경제전에 70%의 비중을 두면서 공산당군을 거의 고사 직전까지 몰고 갔다.

마오와 덩이 주고받은 공칠과삼(功七過三)

셋째,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하고, 후임자인 후루시초프는 1956년 소련 공산당대회에서 스탈린의 개인숭배사상을 비판하고 자본주의국가들과의 평화공존을 주장했다. 반면 마오는 스탈린의 이념적 공헌만큼은 인정해야 한다고 보고, ‘스탈린은 공(功)과 과(過)가 7 대 3’ 이라고 평가했다. 마오는 후루시초프를 수정주의자라고, 후루시초프는 마오를 교조주의자라고 서로 비난했다. 마오가 이 방식으로 스탈린을 옹호한 것은 공산주의노선에 대한 후루시초프와의 차이를 견지하며 또한 중국의 주적인 미국에 대한 유화적인 태도에 기인함이다.

넷째, 1976년 마오가 사망했을 때, 중국의 많은 사람들이 마오가 문화대혁명 등의 극단적인 조치로 중국을 파탄에 이르게 했다고 비난했다. 하지만 덩샤오핑(鄧小平)은 1981년 당대회에서 ‘마오의 공과 과는 7대 3’이라고 공식선언하면서, 과거에 대해 더 이상 왈가왈부하지 말고 미래를 보고 개혁개방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을 천명했다. 마오는 과거에 자신이 스탈린에 대해 했던 평가를 그대로 돌려받았던 것이다. 마오의 고향인 후난성 사오산(韶山)에 있는 그의 기념관에는 생애 주요활동에 대한 기록에서 문화대혁명 기간이 공백으로 처리되어 있다. 마오를 승계한 지도자들이 마오의 공과를 이렇게 회색 지대에 놓아 둔 것이다. 한편, 마오는 1973년 공산당 지도자들에게 그간 좌천시켰던 덩의 복권을 확인하는 자리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그도 나와 마찬가지로 70퍼센트는 유익한 일을 해왔고 30퍼센트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덩샤오핑 동지는 지난날의 결점들은 점차 고쳐나가십시오.” 마오가 자신에 대해 부여했던 ‘7대 3의 법칙’을 덩이 마오에게 그대로 돌려주는 점이 흥미롭다.

명분 지키며 현실 수용하는 전략

마오는 시인이자 혁명가이며 군사전략가이자 사상가였다. 마오는 모든 사물을 변증법적으로 보았다. 그는 하나가 둘이 되고 대립 통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혼란과 불안정 속에서 기회를 찾았다. 대립되는 양면성은 평행으로만 달리는 것이 아니라 때로 통합하고 통일을 이루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한다는 것이 마오가 자주 인용하던 ‘이분법’이었다. 이러한 변증법적 사고를 통해서 ‘신중국’을 설립한 것이다. 그의 변증법은 ‘7대 3의 법칙’과도 관련이 있으며, 중국의 지도자나 전략가들에 의해 지금도 유지되고 있다.
그러면 중국인이 갖고 있는 ‘7대 3의 법칙’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중국인은 비유와 개괄에 능하다. 그들은 전통적으로 어떤 상황을 고도로 개괄하는 능력과, 정곡을 찌르며 한마디로 표현하는 방법을 추앙한다. ‘7대 3의 법칙’도 중국인들의 사고가 고도로 형상화된 언어로 표출된 한 예일 것이다. ‘7대3 법칙’은 현대 중국의 전략적 유연성을 상징하는 개념이기도 하다. 대내외적으로 곤경에 처했을 때 체면과 명분을 잃지 않는 가운데 고통스러운 현실을 실용주의적으로 수용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목표를 최종적으로 달성하려는, 중국인 특유의 강인하고 오묘한 전략이다.

중국인은 그 당시에 처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한 사람 또는 한 상황에 대해 명과 암을 일시적으로 함께 포용한다. 하지만 결코 7을 포기하지 않고 긴 시간(인내)을 들여 자신이 원하는 목표인 7을 달성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마오에 대한 평가에서는 3이라는 과보다는 7이라는 공을 헤아리는 것이고, 미·중간 전략적 경쟁에서 “향후 10년간 중·미가 70%는 경쟁하고 30%는 협력하겠다”는 것은 경쟁을 더 중시하겠다는 것이다. 중국인은 처신에 있어 겉과 속이 같은 상대를 3류로 취급하는 민족이다. 거대한 면적과 인구, 유구한 역사를 통해 단련 받느라 생존을 위한 나름의 자구책의 결과일는지 모른다. 우리는 이러한 특질을 충분히 고려하여 중국을 상정하고 중국의 정치와 외교를 접근해야 한다.

회색지대의 관용, 우리에게 있나

‘7대 3의 법칙’에서 우리가 참고할 것은 무엇일까. 이중 교수는 『모택동과 중국을 이야기하다』라는 책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중국은 지난날의 마오쩌둥과 공산당의 과오를 호되게 비난하면서도 자신들의 정체성과 역사적 정당성만은 철저하게 옹호한다. 반면에 어제는 항상 부당했고, 오늘은 언제나 정당하고, 내일은 다시 오늘이 부정되는 나라, 이어지는 단절과 파괴 속에서 정체성마저 위기에 놓여 있는 나라인 한국이 있다. 하지만 중국 사람들은 자신의 역사 전부를 몸으로 사랑하는 것 같다. 불행했던 과거는 불행했던 대로 간수하고 재현시키며 역사의 교훈으로 삼는다.”

3·1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을 맞았던 2019년 한국 정부는 그간 한국의 독립에 기여했던 인사들을 거론하면서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사람들만 추천하고 이승만과 같은 해방 이후 한국의 독립에 지대한 공헌을 한 사람들은 홀대했다. 이러한 극단적이고 흑백논리에 갇힌 방식은 한국에 전혀 이롭지 않고 또 다른 분열을 조장한다. 온 국민의 국익이 걸린 건강한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데 방해될 뿐이다. 하루빨리 정부가 균형을 잡고 필요하다면 현재와 미래를 위해 판단을 회색지대에 유보하는 지혜를 발휘하기를 조언한다. 우리 지도자들에게도 이러한 회색지대의 관용과 전략을 실천할 지혜와 용기가 있는가.

키워드
신창타이(新常態)
2007~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지속된 저성장·저금리·저물가 기조를 나타낸 경제 용어 뉴 노멀(New Normal)의 중국식 표현이다. 경제 현상을 넘어 과거 비정상적이던 현상이 점차 흔한 표준으로 자리잡는다는 의미로 쓰인다.


문화대혁명
유토피아적 공산주의를 꿈꾼 마오쩌둥의 주도로 1966년부터 10년간 이어진 대중 정치 운동이다. 이 기간 중고생과 대학생들이 홍위병이라는 이름으로 낡은 문화를 일소한다며 동원돼 수백 만 명이 박해를 받아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
연상모
외교부 중국과장, 주비엔나 대표부 참사관, 주일본 공사참사관, 주상하이 부총영사, 주니가타 총영사로 근무했다. 대만 국립정치대 석사, 성신여대 박사. 서울대 중국연구소 초빙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성신여대 동아시아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1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447 (학술공공) 회원 서적 출간 안내 (정규섭 회원)
일자: 11-08 | 조회: 156
2022-11-08
156
446 (학술공공) 회원 서적 출간 안내
일자: 06-13 | 조회: 164
2022-06-13
164
445 [신간] 조갑동 / 푸름 Azul (그린비, 2020.…
일자: 11-18 | 조회: 537
2020-11-18
537
444 [신간] 황길신 / 초원의 말발굽 소리 (고글, 202…
일자: 11-18 | 조회: 460
2020-11-18
460
443 [신간] 이용일 / 분단과 통일의 법 (느린생각, 20…
일자: 11-18 | 조회: 564
2020-11-18
564
442 [신간] 백범흠 / 미·중 신냉전과 한국 (늘품, 20…
일자: 11-12 | 조회: 955
2020-11-12
955
441 <미디어시비비비> 박병환 / 참을 수 없는 대한민국의 …
일자: 11-12 | 조회: 498
2020-11-12
498
440 [신간] 서현섭 / 한중일의 갈림길, 나가사키 (보고사…
일자: 11-06 | 조회: 539
2020-11-06
539
439 [신간] 조윤수 / 독일 통일 30년, 독일의 과거에서…
일자: 11-06 | 조회: 438
2020-11-06
438
438 [신간] 손선홍 / 도시로 떠난 독일 역사 문화 산책 …
일자: 11-03 | 조회: 441
2020-11-03
441
437 <성주신문> 김석규 / 올해의 자랑스러운 성주인상 3명…
일자: 10-26 | 조회: 506
2020-10-26
506
436 [신간] 조윤수 / 대사와 함께 떠나는 소아시아 역사문…
일자: 10-26 | 조회: 658
2020-10-26
658
435 <미디어시비비비> 박병환 / 한국인의 대일본 및 중국 …
일자: 10-15 | 조회: 597
2020-10-15
597
434 <세계일보> 이준규 / 외교부, 전문가 집단으로 자존심…
일자: 10-14 | 조회: 517
2020-10-14
517
433 <서울문화투데이> 이함준 / 한국 문화예술의 세계화를 …
일자: 09-18 | 조회: 580
2020-09-18
580
432 [신간] 송금영 / 아프리카 깊이 읽기 (민속원, 20…
일자: 09-16 | 조회: 554
2020-09-16
554
431 <미디어 시시비비> 박병환 / 미중 갈등 악화 가능성과…
일자: 09-15 | 조회: 744
2020-09-15
744
430 <내일신문> 박병환 / 벨라루스 사태, 또 하나의 색깔…
일자: 09-15 | 조회: 721
2020-09-15
721
429 [신간] 김병호 외 / 공공외교의 이해 (명인문화사, …
일자: 09-11 | 조회: 654
2020-09-11
654
428 <중앙일보> 연상모 / 강경 일변도 시진핑 외교, 마오…
일자: 09-11 | 조회: 703
2020-09-11
703
427 <한국일보> 한병길 / 우리가 페로니즘에서 얻어야 할 …
일자: 09-04 | 조회: 1003
2020-09-04
1003
426 <서울문화투데이 문화대상(글로벌) 수상자 인터뷰> 이함…
일자: 08-21 | 조회: 618
2020-08-21
618
425 <천지일보> 박병환 / 덩샤오핑이 살아있다면 시진핑에게…
일자: 08-18 | 조회: 589
2020-08-18
589
424 <내일신문> 박병환 / G7개편 구상과 러시아, 그리고…
일자: 08-12 | 조회: 518
2020-08-12
518
423 <천지일보> 박병환 / 에너지 시장의 파워게임과 한-러…
일자: 08-07 | 조회: 576
2020-08-07
576
422 <천지일보> 박병환 / 일본 기업 징용 배상 판결 이행…
일자: 07-29 | 조회: 548
2020-07-29
548
421 [신간] 전봉근 / 비핵화의 정치 리플렛 (명인문화사,…
일자: 07-22 | 조회: 785
2020-07-22
785
420 [신간] 이백순 / 대변환 시대의 한국 외교 (21세기…
일자: 07-15 | 조회: 808
2020-07-15
808
419 <중앙일보> 임한택 / 대법원 강제징용 판결의 현금화 …
일자: 07-14 | 조회: 790
2020-07-14
790
418 [신간] 황순택 / 서양명화 읽어주는 외교관 (모노폴리…
일자: 07-10 | 조회: 1006
2020-07-10
1006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