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한국일보> 한병길 / 우리가 페로니즘에서 얻어야 할 교훈

페이지 정보

작성일2020-09-04 10:21 조회1,383회 댓글0건

본문

 

 

[기고] 우리가 페로니즘에서 얻어야 할 교훈

에바 페론과 후안 페론. 출처 : wikipedia

 

0000532291_001_20200904061209972.jpg?type=w430

 

 

페로니즘(Peronism)이라는 정치운동은 인간은 평등하며, 약자를 돕고 어려운 이웃을 구제하는 동정심 이야말로 최우선 가치라고 주장한 아르헨티나 페론 대통령과 영부인 에바 페론의 생각과 실천을 통해서 발전해 왔다. 대다수 아르헨티나 국민들에게 페로니즘은 ‘서로를 이해하고 교감하는 종교’와 같은 것으로서 뼛속 깊게 스며들어 있다.

페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그의 집권기간에 아르헨티나 역사상 소득 배분이 가장 잘 이루어졌으며, 서구 열강들과 경쟁할 수 있는 산업 투자, 공업화, 원자력 사업의 시작 등이 이루어졌다고 주장한다. 반면 페로니즘 비판자들은 아르헨티나와 같이 곡물, 쇠고기 같은 원자재 수출에 의존하는 국가는 국제가격 변동성을 감안하여 경제가 어렵게 되는 시기에 대비해야 하는데, 페론이 노동자로부터 인기를 얻기 위해 ‘퍼주기’ 정책을 편 결과, 경제를 헤어 나올 수 없는 수렁에 빠지게 하였다고 비판한다.

 

두 주장 중 어느 쪽이 옳은 지 논쟁하는 것은 소모적이라고 생각되며, 우리로서는 페로니즘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세가지 교훈을 얻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첫째, 페로니즘을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려 들지 말고, 한국과 아르헨티나가 처한 상황이 상이하다는 것을 우리 국민들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야 한다. 아르헨티나는 방대한 자원, 넓은 국토, 비교적 적은 인구를 보유한 대국으로서의 우월감과 여유 속에서 1세기 가까운 페로니즘을 버텨냈다. 아르헨티나는 국경이 봉쇄되어도 어느 정도 자급자족과 생존이 가능한 국가이다. 반면 한국은 좁은 국토에 높은 인구밀도를 가진 수출 주도형국가로서 국제수지 방어가 안 되면, 단시간 내 국가 부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한국이 3만달러 소득의 선진국에 진입하게 되었다는 자신감에 들떠 단기적이고 대중 영합적인 정책을 계속 펼 경우, 그 끝에는 국가 파산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국민들이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페로니즘에 빠진 아르헨티나가 비전 있는 지도자를 민심이라는 이름으로 몰아냈던 점을 우리는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아르헨티나는 ‘축복받은 땅’임에도 선순환적인 영미의 발전 방식을 따라가지 않고 배척주의적 정치인들이 할거하며 비전 있고 유능한 정치인들이 뿌리내리지 못하도록 방해한 결과, 아직까지도 비극은 계속되고 있다.

셋째, 아르헨티나 국민들 대다수는 언론 자유와 사법부 독립을 가능하게 하는 민주주의, 국민의 국가에 대한 귀속감, 정부 정책의 효율적 시행 등 자신들의 강점들 때문에 숱한 정치ㆍ경제적 위기 속에서도 국가로서의 기본 틀을 유지해올 수 있었다는 점에 동의하고 있다. 페로니즘으로부터 영감을 받고, 페로니즘적 정책을 많이 펴고 있는 우리나라 현 정부로선 이 부분은 특히 새겨들어야 할 대목이다.

 

0000532291_002_20200904061209995.jpg?type=w430

한병길 세한대 초빙교수ㆍ전 주 아르헨티나 대사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1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447 (학술공공) 회원 서적 출간 안내 (정규섭 회원)
일자: 11-08 | 조회: 347
2022-11-08
347
446 (학술공공) 회원 서적 출간 안내
일자: 06-13 | 조회: 353
2022-06-13
353
445 [신간] 조갑동 / 푸름 Azul (그린비, 2020.…
일자: 11-18 | 조회: 748
2020-11-18
748
444 [신간] 황길신 / 초원의 말발굽 소리 (고글, 202…
일자: 11-18 | 조회: 697
2020-11-18
697
443 [신간] 이용일 / 분단과 통일의 법 (느린생각, 20…
일자: 11-18 | 조회: 754
2020-11-18
754
442 [신간] 백범흠 / 미·중 신냉전과 한국 (늘품, 20…
일자: 11-12 | 조회: 1147
2020-11-12
1147
441 <미디어시비비비> 박병환 / 참을 수 없는 대한민국의 …
일자: 11-12 | 조회: 760
2020-11-12
760
440 [신간] 서현섭 / 한중일의 갈림길, 나가사키 (보고사…
일자: 11-06 | 조회: 741
2020-11-06
741
439 [신간] 조윤수 / 독일 통일 30년, 독일의 과거에서…
일자: 11-06 | 조회: 626
2020-11-06
626
438 [신간] 손선홍 / 도시로 떠난 독일 역사 문화 산책 …
일자: 11-03 | 조회: 637
2020-11-03
637
437 <성주신문> 김석규 / 올해의 자랑스러운 성주인상 3명…
일자: 10-26 | 조회: 997
2020-10-26
997
436 [신간] 조윤수 / 대사와 함께 떠나는 소아시아 역사문…
일자: 10-26 | 조회: 872
2020-10-26
872
435 <미디어시비비비> 박병환 / 한국인의 대일본 및 중국 …
일자: 10-15 | 조회: 856
2020-10-15
856
434 <세계일보> 이준규 / 외교부, 전문가 집단으로 자존심…
일자: 10-14 | 조회: 747
2020-10-14
747
433 <서울문화투데이> 이함준 / 한국 문화예술의 세계화를 …
일자: 09-18 | 조회: 819
2020-09-18
819
432 [신간] 송금영 / 아프리카 깊이 읽기 (민속원, 20…
일자: 09-16 | 조회: 771
2020-09-16
771
431 <미디어 시시비비> 박병환 / 미중 갈등 악화 가능성과…
일자: 09-15 | 조회: 980
2020-09-15
980
430 <내일신문> 박병환 / 벨라루스 사태, 또 하나의 색깔…
일자: 09-15 | 조회: 927
2020-09-15
927
429 [신간] 김병호 외 / 공공외교의 이해 (명인문화사, …
일자: 09-11 | 조회: 880
2020-09-11
880
428 <중앙일보> 연상모 / 강경 일변도 시진핑 외교, 마오…
일자: 09-11 | 조회: 928
2020-09-11
928
열람중 <한국일보> 한병길 / 우리가 페로니즘에서 얻어야 할 …
일자: 09-04 | 조회: 1384
2020-09-04
1384
426 <서울문화투데이 문화대상(글로벌) 수상자 인터뷰> 이함…
일자: 08-21 | 조회: 841
2020-08-21
841
425 <천지일보> 박병환 / 덩샤오핑이 살아있다면 시진핑에게…
일자: 08-18 | 조회: 798
2020-08-18
798
424 <내일신문> 박병환 / G7개편 구상과 러시아, 그리고…
일자: 08-12 | 조회: 687
2020-08-12
687
423 <천지일보> 박병환 / 에너지 시장의 파워게임과 한-러…
일자: 08-07 | 조회: 786
2020-08-07
786
422 <천지일보> 박병환 / 일본 기업 징용 배상 판결 이행…
일자: 07-29 | 조회: 716
2020-07-29
716
421 [신간] 전봉근 / 비핵화의 정치 리플렛 (명인문화사,…
일자: 07-22 | 조회: 1043
2020-07-22
1043
420 [신간] 이백순 / 대변환 시대의 한국 외교 (21세기…
일자: 07-15 | 조회: 1063
2020-07-15
1063
419 <중앙일보> 임한택 / 대법원 강제징용 판결의 현금화 …
일자: 07-14 | 조회: 1021
2020-07-14
1021
418 [신간] 황순택 / 서양명화 읽어주는 외교관 (모노폴리…
일자: 07-10 | 조회: 1225
2020-07-10
1225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